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둔 보험사들이 화끈한 성과급을 선보였다. 다만 은행권을 중심으로 '횡재세' 논란이 제기된 만큼 보험업계 전반에 미칠 파장을 조심하는 눈치다.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는 임직원에게 연봉의 50% 수준을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삼성화재 임직원의 성과급은 연봉의 47% 수준이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지난해 적정 손해율 관리와 사고 감소 등으로 손익이 증가 했다"며 "임직원들에게 초과 이익을 성과 보상 차원에서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봉의 23%을 지급했던 삼성생명도 올해는 연봉의 29%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한다.
보험업계는 작년 새로운 회계제도(IFRS17)의 도입으로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기준 국내 53개 보험사의 누적 당기 순이익은 11조4225억원으로 2022년 같은기간 대비 47.2% 증가했다.
다른 보험사들 역시 최대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연봉의 6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했던 메리츠화재는 올해도 비슷한 수준을 검토하고 있다.
작년 연봉 기준 4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했던 DB손해보험은 오는 3월 성과급을 지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험사는 호실적에도 역대급 성과급 지급에 눈치를 보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이 최근 보험사 최고재무책임자(CFO) 간담회에서 새로운 회계제도 도입에 따른 실적 변동성이 큰 만큼 올해 성과급 등 논란에 주의를 당부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성과와 비교했을 때 삼성화재와 삼성생명의 성과금은 줄어들었다고 볼 수준"이라며 "다만 IFRS17에 대한 논란과 더불어 금융권 '횡재세' 논란이 있었던 만큼 성과금 지급을 두고 고민하는 다른 보험사들은 당국의 눈치를 보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