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팸 차단 모바일 앱 후후 운영 기업 브이피는 2023년 4분기 스팸 통계 결과 신고건수는 130만건 급증하고, 후후 앱 이용자들이 직접 신고한 스팸 건수는 672만건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유형별로 살피면 △주식/투자 177만건(26.3%) △대출권유 133만건(19.8%) △불법게임/유흥업소 126만건(18.8%) △보험가입 권유 41만건(6.2%) 등이다. 스팸 건수는 지난 2·3분기 계속해 감소세를 보였으나 4분기 들어 다시 늘었고, 지난해 1분기 주식/투자 스팸이 전체의 42%를 차지한 것에 비하면 점점 다양한 내용과 형태의 스팸이 기승을 부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식/투자 스팸은 고금리가 지속되며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주식시장이 침체되며 지난해 1분기 이후부터 줄곧 감소해 4분기 26.3%까지 줄어들었다. 반면 대출권유 스팸은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및 제한 정책에 따라 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며 지난해 1분기 15.7%에 불과했던 비중이 4분기 19.8%까지 올랐다.
과거에 성행하던 전형적인 유형을 벗어난 새로운 수법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브이피 관계자에 따르면, 빈도가 높지 않아 단순히 기타 항목으로 분류했던 스팸이 지난해 1분기 기준 22만건이었으나 4분기에 36만건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신종 사기성 스팸으로는 온라인 부고장을 이용한 스미싱이 있다. 피싱·스미싱에 취약한 노년층은 부고장을 받으면 직접 전화해 사실 확인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노린 유형이다. 지인을 사칭해 스미싱 URL이 포함된 온라인 부고장을 문자메시지나 SNS로 대량 전송하고, 이용자가 URL을 클릭하면 전화 가로채기 등 악성 앱을 설치해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탈취한다.
특히 이들은 탈취한 피해자의 연락처를 활용해 지인에게 또 다른 문자를 반복 발송해 의심하기 어려운 상황을 악용하고 피해자를 무한정 늘릴 수 있어 심각성이 매우 높다. 만약 해당 유형으로 의심되는 문자를 받았거나 URL을 설치했다면 모바일 백신앱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검사해보고 휴대폰 서비스센터 등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브이피 관계자는 "스팸의 수법이 날로 지능화되고 있어 특히 노년층이 피해에 자주 노출되고 있다"며 "자녀들이 부모님 휴대폰에 후후 앱을 미리 설치해 드리는 것만으로도 스팸으로 의심되는 전화나 문자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고, 의심이 되는 URL은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KT, 아시아 연결하는 통신 해저케이블 건설한다
- K-패스, 나한테 맞는 교통카드는
- KT, 국내 통신사 최초로 메시징 자동 복구 시스템 적용
- KT, 설 명절 앞두고 1200억원 납품 대금 조기 지급
- KT, '에이블스쿨' 4기 잡 페어 개최
- KT, 한양대와 '정신건강 관리' 디지털 플랫폼 만든다
- KT,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통신 지원 점검 완료
- KT, 콜센터 품질 10년 연속 최우수 기업 선정…명예의 전당 올라
- KT "인앱 서비스 도입 후 월 이용자 26% 증가"
- KT, 스타트업 발굴·지원 '창업도약패키지' 3기 모집
- KT, 다음 달 3일까지 그룹 차원 전 직급 채용 실시
- '이부진 투자하다'…유명인 사칭에 구글 '영구정지' 강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