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투자증권은 바이오차 생산기업인 ㈜4EN과 경기도 안성시에서 차세대 토양개량제인 바이오차 제조시설의 준공식을 지난 21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올해 1월 탄소배출권 투자계약을 통해 고품질 탄소배출권 생산에 협업해 왔다. 내년부터 국내외 자발적 탄소감축 인증제도인 퓨로어스(Puro.earth), 탄소감축인증표준(KCS)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 인증 및 발행을 하며, 이를 글로벌 기업 등에 판매할 계획이다.
NH투자증권은 국내외 탄소배출권 사업투자 및 배출권거래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차 사업 이외에도 SK임업과 동티모르에서 쿡스토브 사업을 추진하는 등 글로벌 탄소배출권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농협금융그룹의 일원으로서 농업 부산물, 축산 분뇨 등을 활용한 고체연료, 바이오가스, 바이오차 등 다양한 감축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NH투자증권과 사업을 진행하는 포이엔은 지난달 2일에 대한상공회의소가 운영하고 있는 자발적배출권 인증제도인 KCS에 바이오차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을 등록했다.
포이엔이 등록한 방법론에 따르면, 수분이 가득한 커피박을 대상으로 바이오차를 제조 시 바이오차 1톤 당 1.5 tCO2(이산화탄소톤) 내외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볏짚, 식물 껍질, 폐목재 등을 대상으로 바이오차를 제조 시에는 2 tCO2 상당량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방법론은 탄소감축량을 산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국내 최초의 방법론이다.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주로 식물성 바이오매스(목재·왕겨 등)을 산소가 거의 없는 조건에서 350도 이상의 온도로 탄화(열분해)해 만든 고체 물질이다.
바이오차는 토양 및 반영구 물질에 탄소를 격리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탄소저감 방안으로 승인되었으며,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로 분류돼 다른 탄소저감 기술에 비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받는다.
바이오차는 토양 작물 생장 촉진을 위한 유기질 비료, 토양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효과가 탁월하며, 건축 자재, 플라스틱 등에도 혼합 사용이 가능해 활용처가 다양한 제품으로서, 향후 국내 바이오차 시장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H투자증권 탄소배출권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는 Client솔루션본부의 박건후 대표는 "현재 글로벌 탄소시장이 파리협약 Article 6조를 중심으로 규제 및 자발적 배출권 시장의 연계와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와 기업, 개인의 탄소감축노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탄소배출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미래형 기술인 바이오차 사업이 향후 국내에서 보다 활성화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이슈 더보기] IPO 실적 1위 두고 미래에셋 vs NH투자 논쟁…왜
- '시장이 도왔다' NH투자증권, 거래소 기준 IPO주관 1위 막판 뒤집기
- NH투자증권, 대대적 조직 개편…내실 다지기
- 살얼음판 증권사에 빛 떠오른 STO…해외 사례는
- NH투자증권 "2024년 부동산 약보합세…금리·정책 변수"
- NH투자증권, 장난감분해 봉사활동…"온실가스 저감 효과"
- [인사]NH투자증권 부서장 인사
- NH투자증권 "여의도 재건축 투자, 중장기적 접근 필요"
- NH선물, 농협재단에 농가발전기금 2000만원 기부
- NH투자증권, 금융·교양 정보 담은 THE100 매거진 75호 발간
-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 "공모펀드 활성화…본질적인 개선 필요"
- 농협금융, 2024년 리스크 관리 대토론회 개최
- NH투자증권, 퇴직연금 관리 소홀 '지적'…"개선해 나갈 것"
- NH투자증권, MTS 내 ‘종토방’ 오픈…건전성·신뢰도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