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 사진=NH투자증권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 사진=NH투자증권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가 8일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 최근 금융당국이 발표한 거래소 상장거래 방안보다 더 본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이 올린 관련 페이스북 게시물 댓글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  고문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모펀드를 상장시킨다고 활성화되지 않는다. 공모펀드는 매매를 자주 못 하는 게 단점"이라며 "공모펀드는 퇴직연금 등에서 운용할 때 장기 적으로 안정감을 주도록 운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안정감을 살리지 않고 상장해서 매매가 잘되게 하는 것으로 돌파구를 찾는다면 개의 꼬리로 몸통을 흔든다는 생각과 다를 바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정 대표는 댓글을 통해 "본질적으로 공감한다"며 "유동성 부여를 목적으로 상장하는 경우 폐쇄형(펀드)의 경우 다소 도움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대비해 장점을 살리려면 본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며 "미국은 (공모펀드가) 과거보다 못하지만, 여전히 퇴직연금의 주요 투자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위는 일반 공모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판매 수수료·판매 보수 등 각종 비용을 절감하면서 주식처럼 간편하게 사고 팔 수 있는 공모펀드 판매보수 경쟁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투자자들의 접근성 제고 차원에서 동의했으나, 근본적 개선책은 될 수 없다는 주장과 판매보수 인하로 펀드 판매에 소극적으로 변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실효성을 지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