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가 8일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 최근 금융당국이 발표한 거래소 상장거래 방안보다 더 본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이 올린 관련 페이스북 게시물 댓글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 고문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모펀드를 상장시킨다고 활성화되지 않는다. 공모펀드는 매매를 자주 못 하는 게 단점"이라며 "공모펀드는 퇴직연금 등에서 운용할 때 장기 적으로 안정감을 주도록 운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안정감을 살리지 않고 상장해서 매매가 잘되게 하는 것으로 돌파구를 찾는다면 개의 꼬리로 몸통을 흔든다는 생각과 다를 바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정 대표는 댓글을 통해 "본질적으로 공감한다"며 "유동성 부여를 목적으로 상장하는 경우 폐쇄형(펀드)의 경우 다소 도움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대비해 장점을 살리려면 본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며 "미국은 (공모펀드가) 과거보다 못하지만, 여전히 퇴직연금의 주요 투자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위는 일반 공모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판매 수수료·판매 보수 등 각종 비용을 절감하면서 주식처럼 간편하게 사고 팔 수 있는 공모펀드 판매보수 경쟁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투자자들의 접근성 제고 차원에서 동의했으나, 근본적 개선책은 될 수 없다는 주장과 판매보수 인하로 펀드 판매에 소극적으로 변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실효성을 지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 NH투자증권, 금융·교양 정보 담은 THE100 매거진 75호 발간
- NH투자증권 "여의도 재건축 투자, 중장기적 접근 필요"
- NH투자증권-4EN, 업계최초 바이오차 생산 사업장 준공식 개최
- NH투자증권, 대대적 조직 개편…내실 다지기
- NH투자증권, 퇴직연금 관리 소홀 '지적'…"개선해 나갈 것"
- 법원,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 중징계 효력 정지…임추위 '주목'
- NH투자증권, MTS 내 ‘종토방’ 오픈…건전성·신뢰도 높였다
- NH투자증권, 떨어진 주식에 '물타기' 서비스 화제
- NH투자증권, 지난해 영업익 7492억원…전년 대비 43%↑
-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 4연임 가능성에 "당국 vs 내부 눈치"
-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 용퇴 결정…"주총 후 물러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