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 706명을 대상으로 '전공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 사진=잡코리아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 706명을 대상으로 '전공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 사진=잡코리아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본인의 과거 전공 선택을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전공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면 취업이 좀 더 잘 되는 학과를 선택할 것"이라고 답하며 '공학계열'을 희망 전공으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20일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남녀 직장인 706명을 대상으로 '전공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78.0%가 '불만족한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가한 남녀 직장인들 중 '다시 선택할 기회가 주어져도 본인이 전공했던 과목을 다시 공부하고 싶다'고 답한 이들은 16.0%에 그쳤고, 5.9%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전공 불만족 정도는 법학계열 전공자 사이에서 가장 높았다. 법학계열을 전공했다고 밝힌 직장인 중 84.6%가 '다시 선택할 기회가 있다면 타 전공을 공부하고 싶다'고 답했으며, 인문계열과 사범계열 전공자들의 불만족 정도가 각각 83.9%와 80.0%로 뒤를 이었다. 전공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학과는 경상계열(28.3%)과 예술계열(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떤 분야를 공부하고 싶은지'에 대한 조사 결과로는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산업공학 등 '공학 계열'을 선택한 이들이 28.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학, 한의학, 간호학 등 '의학 계열'이 16.7%를 차지했고 의류학, 식품영양학, 패션디자인학 등 '생활과학 계열'(10.5%)과 신문방송학, 정치학, 심리학 등 '사회과학 계열'(10.3%)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물리학, 수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 계열'은 4.4%, 인문학 계열은 3.8%, 농업 계열은 1.3% 등으로 전공 재선택 조사에서 다소 비인기 분야인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들이 전공을 다시 선택하는 기준은 취업의 용이성 여부인 것으로 분석된다. 설문 참가자들에게 위의 전공을 왜 선택하고자 하는지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한 결과 '취업이 잘 될 것 같아서'를 응답률 61.0%로 가장 높게 선택했다. 다음으로 흥미로운 분야 같아서(34.3%), 나의 적성에 맞는 분야라서(28.3%), 안정적인 진로가 보장될 수 있는 학과라서(21.6%), 재미있을 것 같은 분야라서(4.4%) 등을 이유로 해당 전공을 다시 선택해 공부하고 싶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