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전경.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새마을금고 전경.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새마을금고가 앞으로는 다른 금융사와 마찬가지로 연 2회 행정안전부를 통한 영업실적을 공개한다.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는 31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1293개 새마을금고의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총자산은 올해 6월말 기준 290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6조5000억원(2.3%) 증가했으며 총수신은 259조4000억원으로 8조원(3.2%) 늘었다.

총대출은 196조5000억원으로 5조1000억원(2.5%) 감소했다. 기업대출(111조4000억원)은 8000억원(0.7%) 늘었지만 가계대출(85조1000억원)은 5조9000억원(6.5%) 줄었다.

다만 자산건전성은 악화했다. 전체 연체율은 5.41%로 작년 말 대비 1.8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8.34%로 2.73%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2%포인트 오른 1.57%다.

자본적정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자본비율은 8.29%로 작년 말보다 0.27%포인트 하락했으나 최소규제비율(4.00% 이상)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와 대출 연체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236억원 손실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 당기순이익은 6783억원이다.

하반기 이자비용 감소와 연체율 관리 강화 등에 따라 연말에는 순이익으로 전환할 것으로 행안부는 내다봤다. 이미 지난 7월 1400억원 흑자를 실현해 247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특히 최근 '뱅크런' 사태로 새마을금고에서 약 17조원의 자금이 이탈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행안부와 금융위원회는 8월 들어 예수금 순유입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행안부는 적극적인 연체채권 매각 확대와 기업대출 집중관리 등을 통해 한층 더 강화된 금고 건전성 관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 최대 3조원(MCI 대부 1조원·캠코 2조원) 규모의 연체채권 매각을 추진하고 금고의 적극적인 연체채권 대손상각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사업장별 연체 해소방안 이행사항을 수시로 점검하고 정상사업장도 사업 지연·중단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자산건전성 재분류)하도록 지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행안부는 지난 18일 출범한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원회와 함께 새마을금고 거버넌스 개편과 투명한 금고 운영 등 혁신방안을 마련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