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 대인동에 위치한 광주은행 본사 사옥. 사진=광주은행
광주 동구 대인동에 위치한 광주은행 본사 사옥. 사진=광주은행

광주은행이 지난 2017년 이후 현재까지 횡령사고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이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3년 7월까지 은행, 저축은행, 보험, 카드, 증권을 포함한 금융업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는 202명, 횡령한 금액은 1816억59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에서 국내영업 철수를 선언한 한국시티은행을 제외한 국내은행 중 광주은행은 유일하게 횡령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런 배경으로 광주은행 관계자는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시스템 작동과 임직원의 내부통제 매뉴얼 준수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고병일 광주은행장은 올 초 취임사에서 '기본'을 강조하면서 기본에 입각한 정도영업과 100년 은행으로의 도약을 위한 도덕성을 강조했다.

뒤이어 최근 임직원 회의에서는 "안정성이 검증된 내부통제시스템를 더욱 고도화하고 임직원들이 서로 협조해 고객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안정적인 금융시스템 조성에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광주은행은 직무연수를 통한 △주기적인 윤리교육 실시 △금융사고 취약 업무 인원 보강 및 절차 고도화 △자점감사전담역 배치를 통한 실질적인 감사 △준법감시인 권한 강화 △장기근속 및 위험직무근무자 순환배치 원칙 등을 실천해 도덕적 해이 방지를 통한 금융사고 제로(ZERO) 은행으로 도약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