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이명순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이 금융협회·금융회사의 퇴직연금 담당 임원과 만난자리에서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퇴직연금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퇴직연금 분납 및 만기 분산 계획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금융회사 담당 임원들에게 관련 대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실천 방안 마련을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이 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해 금융회사의 퇴직연금 부담금을 분산 납부해달라고 요청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퇴직연금 리스크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기업의 퇴직연금은 통상 연말에 집중적으로 납입돼 금융회사 간 적립금 유치 경쟁이 벌어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이어진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16조에 따르면 확정급여(DB)형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사용자는 퇴직급여 지급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말 일정 수준 이상의 최소적립금을 외부에 적립해야 한다.

이날 이 수석부원장은 "금융회사 간 퇴직연금 유치경쟁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확대하고 금리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며 "현재도 경기 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퇴직연금 자금 쏠림 리스크 역시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권의 퇴직연금 쏠림 방지를 위한 실천을 위해 DB형 퇴직연금 부담금의 50%를 8월과 10월에 각각 25%씩 분납하고, 앞으로도 이런 기조를 유지하겠다"며 "기존 적립금의 만기 분산 및 퇴직연금 상품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는 우리 금융권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함께 고민해 하반기 중 다양한 상품들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금융회사들도 퇴직연금 부담금 분납 및 기존 적립금의 만기 다변화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회사 임원들은 “금융회사의 부담금 분납 시 연말뿐 아니라 월말 집중도 피할 필요가 있다”라는 의견을 제시하며 “퇴직연금 분납은 시장안정화뿐 아니라 금융회사의 다양한 상품 출시와 수요자의 상품선택권 확대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금융회사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가 연내에 다양한 퇴직연금상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개선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