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이 한화와 대우조선해양의 기업 결합을 예상보다 빨리 승인한 반면, 공정거래위원회 발표는 6월 이후로 미뤄지면서 한화의 수주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일각에선 공정위 심사 지연 배경에 경쟁사인 현대중공업의 몽니설도 일고 있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지난달 31일 한화와 대우조선해양의 기업 결합을 승인했다. 당초 이달 18일에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20일 정도 빠르게 승인 결과를 내놨다.
업계에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을 포함해 한화와 대우조선의 기업 결합으로 조선 산업 관련 독과점 우려가 없는 상황이라 국내외 기업 결합 승인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었다.
앞서 대우조선 인수를 추진했던 HD현대그룹은 LNG 운반선 독과점 우려 등으로 EU 경쟁 당국 결합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튀르키예, 중국, 베트남 등 모든 관련 국가가 한화의 대우조선에 대한 인수 기업 결합 심사를 통과하면서 공정거래위원회 결과 발표만 남겨둔 상황이지만 순탄치는 않을 전망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달 말 한화와 대우조선해양 기업 결합 승인을 6월 이후로 미뤘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현재 한화의 대우조선해양 주식취득 건에 대해 “이해관계자 및 관계기관 의견 청취 등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방향이나 처리시기 등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가장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했던 EU 심사가 빠르게 진행된 반면, 수월할 것으로 예상했던 공정위 결과 발표가 늦어지는 것을 두고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조속한 정상화, 국내 조선업 발전에 도움되지 않는 처사란 지적이다.
일각에선 공정위 심사 지연에 현대중공업의 개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방위사업청이 올해 상반기 울산급 배치3(Batch-III) 마지막 후속 모델 2척 수주를 앞둔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이 한화그룹 계열사 자격으로 뛰어들게 되면 선도함(1번함) 건조 경험이 있는 현대중공업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대중공업은 특수선사업부 직원 9명이 2020년 9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지난해 11월 8명이 유죄 확정을 받았고, 남은 1명은 현재 항소심 진행 중이다. 이에 현대중공업은 3년간 무기체제 제안서 평가에서 1.8점을 감점받았다. 소수점 점수 차이로도 당락이 결정되기 때문에 현대중공업 입장에선 날이 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현대중공업의 개입이 사실이라면 대우조선해양의 새 주인 찾기를 통한 조속한 정상화와 조선업계의 새로운 경쟁을 통한 국가 경제 이바지라는 정부의 기조와 상충하는 것"이라고 일침을 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