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손해보험은 2022년 잠정 경영실적을 발표하고 체질개선을 통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지속한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말 계약서비스마진(CSM) 목표액은 약 2조원으로 롯데손해보험은 앞서 지난해 3분기 CSM을 약 1조6000억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롯데손해보험은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채권 중심으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개선해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지급여력제도(K-ICS)에 가장 적합한 사업구조를 확보했다.
2022년 롯데손해보험의 신규 보험계약자가 내는 1회차 월 보험료인 신규월납 매출액은 283억원으로 전년 대비 24.7% 성장했고 매출은 2조3292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늘었다.
2021년 1조7255억원이던 장기보장성보험 원수보험료는 2022년 1조8669억원으로 8.2% 성장했다. 전체 원수보험료에서 장기보장성보험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80%로 전년 대비 약 4%포인트(p) 높아졌다.
다만 CSM확보를 위한 장기보장성보험 판매비 증가와,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FVPL) 금융자산의 금리변동 영향에 따라 영업손실 761억원, 당기순손실 628억원의 연간 실적을 기록했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지난해 CSM 확보를 위해 장기보장성보험 판매를 늘리며 비용이 증가했고, 급격한 금리상승으로 FVPL 자산의 일부 손실인식이 있었다”며 “이러한 일회성 요인을 제외할 시 2022년 영업이익 흑자는 약 1800억원 수준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판매비는 총 3614억원으로 전년 대비 1009억원 늘어났다. 롯데손해보험은 해당 판매비가 IFRS17에 최적화된 보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영업채널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 활용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전속조직 규모를 2500여명까지 확대하고 법인형 보험대리점(GA)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롯데손해보험은 올해 말 2조원 수준을 목표로 CSM을 성장시킬 계획이며 지난해 대폭 확대된 전속조직과 GA 시장 내 입지를 바탕으로 장기보장성보험 매출 및 수익성은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통해 미래 보험수익의 재원이 되는 CSM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나간다는 구상이다.
2022년 말 롯데손해보험의 순자산은 4497억원이다. 새 회계기준 도입 후인 2023년 말에는 조정 후 순자산 약 1조5000억원이 목표이다. 회계기준 변경에 따라 보험부채는 원가평가에서 시가평가로 전환하고, 자산 분류는 세분화된다.
롯데손해보험은 자산 건전성을 높이는 작업도 지속해나갈 방침이다. 2021년 말 30.6%이던 전체 운용자산 내 채권비중은 2022년 말 47.0%로 1년만에 16.4%p늘어났다. 올해에도 자산·부채 매칭을 통한 시장위험 축소 전략을 시행해 자산 포트폴리오의 건전성을 끌어올리고 K-ICS를 중심으로 안정적 자본건전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중장기적 계획에 따른 CSM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안정적인 이익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수익성과 건전성 개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 롯데손보, 토글과 해외여행보험 ‘맞손’…롯데면세점 특별 혜택도
- 롯데손보, 2022년 3분기 기업설명회(IR) 개최
- 롯데손보, EW보험 ‘전자랜드 생활파워케어’ 가입 1만건 돌파
- 롯데손보, 3분기 계약서비스마진과 순자산 성장 지속
- KB라이프, VIP 종합금융 자산관리 ‘KB STAR WM’ 정식 론칭
- 토스, 머니스토리 공모전 ‘드래프트 2023’ 개최
- Sh수협은행 ‘Show me the 여행’ 이벤트 진행
- 은행 사회공헌, 3년간 10조라더니…실지원 7800억원
- 롯데손보, 정기주총 의결권 전자·서면투표 동시 시행
- 롯데손보, 여권번호만 있으면 OK '외국인 국내여행보험' 출시
- 롯데손보, 1분기 영업익 1050억…'역대 최대'
- 롯데손보, 'let: smile 종합건강보험' 출시
- 롯데손보, 후순위채 600억 콜옵션 행사 완료
- 롯데손보, 3분기 누적 순이익 2629억원…'흑자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