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의 클로이 가이드봇이 박물관 안내 도우미로 나선다.
LG전자는 국립공주박물관과 국회박물관에 문화해설과 길안내 등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LG 클로이 가이드봇'을 '큐아이'라는 이름으로 배치해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LG 클로이 가이드봇은 일반 관람객과 달리 문화를 소비하고 즐기는데 어려움을 겪어 온 소외계층의 고객 만족도를 제고했다. 청력이 약한 관람객에게는 수어 해설과 자막노출을 통해 전달력을 높였다. 거동이 불편해 휠체어를 사용해야 하거나 유모차를 동반한 관람객에게는 일반 안내와는 구분된 휠체어 또는 유모차 전용 경로를 구분해 제공한다. 어린이 관람객들은 터치, 드래그&드롭을 이용한 영역확대, 퀴즈 등 다양한 양방향 콘텐츠도 경험할 수 있다.
LG 클로이 가이드봇은 정밀한 자율주행과 앞뒤 양방향 정보 제공이 가능한 기존 LG 클로이로봇에 별도의 UI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관리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했다. 이를 통해 각종 정보 제공을 위한 음성인식 및 답변 서비스와 문화해설 서비스, 사용유도를 위한 이동홍보 서비스, 챗봇&로봇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 무령왕릉의 연꽃 무늬 문양을 디자인으로 활용해 LG 클로이 가이드봇이 배치된 웅진백제실만의 특색 있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 2020년 기준 전년 대비 35% 가량 증가한 약 8600억원 수준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 로봇 시장은 오는 2025년이면 2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LG전자는 가이드봇을 비롯해 ▲서브봇(서랍형·선반형) ▲UV-C봇 ▲캐리봇 ▲잔디깎이봇 등 총 5종의 로봇 라인업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한 로봇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LG전자 노규찬 로봇사업담당 상무는 “LG 클로이 가이드봇은 관람접근성 확대가 필요한 고객들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박물관을 찾은 모든 이들이 편안하게 관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 LG전자, 온라인 위장사이트 피해 예방에 앞장
- LG전자, 캄보디아 청소년들 자립 지원
- LG전자, ‘LG 미라클래스’로 몰입감 넘치는 극장 만든다
- 조주완 LG전자 사장, 북미·유럽서 B2B 직접 챙긴다
- LG전자, ‘협력사 핵심기술 보호’로 상생 실천
- 삼성·LG, AI 공조솔루션으로 美 시장 공략
- LG전자, 소비자 불만해결 ‘우수’ 사업자 선정
- LG, 2050년까지 탄소중립 추진···탄소 저감에 3.4조 투자
- LG전자, 어린이 초청해 가전제품 안전교육 실시
- "떨어진다!", "걱정마 내가 있잖아"...LG전자 구한 LG이노텍
- LG전자, ISE 2023서 공간 맞춤형 디스플레이 솔루션 선보인다
- LG전자, 지난해 매출 83조원…역대 최대
- LG전자, ‘프로빔 프로젝터’로 실감 나는 실내 골프 즐기자
- LG전자, 차량 사이버보안 인증…글로벌 전장시장 공략
- LG전자, 다자요와 제주 빈 집서 LG생활가전 체험 제공
- LG전자, 비즈니스 공간 특화 'LG 프로빔' 프로젝터 출시
- LG그램 커뮤니티 가입자 10만 넘었다
- LG전자, 전 서비스센터에 청각장애인 위한 수어 안내 도입
- LG전자, 협력사 금융지원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