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현대 서울 전경. 사진=현대백화점
더현대 서울 전경. 사진=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이 계획했던 현대백화점홀딩스(가칭) 지주회사 체제 전환이 무산됐다.

10일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이날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지주회사 전환을 위한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이 최종 부결됐다. 이날 임시주총에는 의결권 있는 전체주식수 중 1578만7252주가 참석했다. 이중 찬성 주식수는 1024만2986주(64.9%), 반대주식수는 524만4266주(35.1%)로 집계됐다.

안건 통과를 위한 찬성 주식 수는 전체의 약 66.6% 정도로, 이번 현대백화점 분할계획 승인 건은 단 1.7%p 차로 부결됐다.

앞서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9월 이사회를 통해 투자부문 및 사업부문을 분할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인적분할 방안을 결의한 바 있다.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백화점업의 성장성 한계를 극복하고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할 계획으로 지배구조 개편과 더불어 지난달 31일 분할 이후 자사주 소각 및 확대된 배당 정책을 포함한 주주환원정책 추진 계획을 공시하기도 했다.

현대백화점 측은 “다수의 주주분들께서 현대백화점의 계획에 깊은 공감과 함께 인적분할 추진에 동의해 주셨지만, 일부 시장과 주주분들의 비판적 의견도 있었다”며 “결과적으로 인적분할 의안은 주총 특별결의 정족수에 미달해 통과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임시 주총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그간 추진해왔던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특히 시장의 우려를 고려해 신중하게 추진했던 분할 계획과 주주환원정책이 주주분들께 충분히 공감받지 못한 점에 대해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고 전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지주사 개편과정에서 대주주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시도일 뿐 주주 권익 강화와는 무관하다는 시각이 많아 주주 설득에 어려움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도 지주사 전환과 인적분할 안건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낸 바 있고 노르웨이 중앙은행의 국부펀드도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백화점은 향후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체제 전환 재추진 여부에 대해서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현대그린푸드의 경우 분할계획서 승인 건이 가결되며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계속 추진해 나가게 됐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는 앞으로도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해 나가도록 하겠다”며 “또한 적극적인 자세로 주주와 시장의 다양한 의견에 귀기울이며 긴밀한 소통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