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그룹은 지난해 3조169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8일 실적발표를 통해 밝혔다.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핵심이익의 견조한 증가, 적극적인 비용관리, 비은행 부문 확충 효과를 바탕으로 호실적을 거양했다.
순영업수익은 9조8457억원으로 전년대비 18.0%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 대출 성장에 기반하여 꾸준한 개선세를 보였고 비이자이익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익 감소에도 신탁, 리스(캐피탈) 관련 영업부문 호조로 수수료이익이 전년 대비 16.2% 증가했다.
자산건전성 부문은 급격한 금리상승 및 대내외 경기둔화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31%, 연체율 0.26%로 업계 최저 수준을 유지했으며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도 각각 89.2%, 214.2%를 기록했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환경에도 불구, 비용효율화 노력으로 전년 대비 3.1%p 개선된 44.4%를 기록하며 개선세를 이어나갔다.
주요 자회사별 연결 당기순이익은 우리은행 2조9198억원, 우리카드 2044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833억원, 우리종합금융 918억원 등을 기록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총주주환원율을 고려한 주주환원정책도 발표했다. 우선 금융환경 변화 등에 대비해 현 보통주 자본비율을 12%로 최대한 조기 개선하고 그 과정에서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해 총주주환원율 30% 수준을 매년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배당금액에 대한 가시성을 제고하기 위해 분기배당 도입 계획을 언급하는 등 주주가치 제고 및 주가부양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피력했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2022년은 거시 환경 불확실성에도 이익창출력 및 리스크관리 역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한 해였다”며 “올해에도 수익성 개선 노력은 지속하되 리스크관리에도 집중해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하고 금융소비자 보호와 권익 제고를 확대해 나가면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들도 적극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금융은 2022년 주당 1130원의 배당을 실시한다고 공시했다.
- 우리금융, 서울영상광고제 2년 연속 수상
- 우리은행 마이데이터, 타 금융앱에서도 쓴다
- 우리금융, 차기 회장에 외부 출신 임종룡 전 위원장 내정
- 우리금융, 내부통제 강화 위한 직원 교육 실시
- 우리금융, 그룹 신입직원 공동연수 실시
- 우리금융, 채식 식단으로 ‘비거뉴어리’ 캠페인 동참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출사표…노조 “모피아 놀이터” 반발
-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 메타버스 어린이 금융 교육 운영
- 우리금융, 신종자본증권 3000억 발행 성공
- 우리은행, 주택도시기금 재수탁기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우리카드, 카드사 최초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 출시
- 우리은행, 언택트 세미나‘우리 Wealth LIVE’개최
- "은행 공공재" 발언에 금융지주 시총 '뚝'
- 우리은행 ‘비정형 데이터 자산화’ 구축 착수
- 우리카드, 배달 대행 플랫폼 '만나코퍼레이션'과 업무제휴
- 우리은행 ‘도전! 우리펫모델’ 기념 NFT 발행
- 우리금융 ‘2023 대한민국 녹색기후상’ 우수 기업 수상
- 우리금융, '그룹 내부통제 현장자문단' 운영
- 우리금융, 1분기 순익 9113억…CET1 12%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