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은행은 은행권 최초 ‘비정형 데이터 자산화’구축 사업에 본격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비정형 데이터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자산화해 직원 업무 효율화를 돕고 AI 기반 대화형 고객 상담 서비스 고도화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은행 비정형 데이터는 업무 매뉴얼, 상품 설명서 등 텍스트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말한다. 통상 기업 데이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중요도 또한 매우 높지만 데이터 형태의 불규칙성 때문에 활용이 크게 제한된다. 본 사업은 AI 기술을 활용해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주요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를‘데이터 구조화 인공지능’을 통해 활용이 용이하도록 구조화하고‘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탐색’을 활용해 자연어 기반 정확한 정보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 기능(AI 지식상담)’을 통해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 향상과 더불어 대화 형태의 고객 응대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은 각종 정형·비정형 및 내외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모델을 개발해 고객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며 “이번‘비정형 데이터 자산화’구축사업으로 타행과 차별화된 다양한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우리은행의 데이터 경쟁력이 한층 더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자 장사’ 비판에 금리 낮추는 은행
- 우리은행, 언택트 세미나‘우리 Wealth LIVE’개최
- 우리은행, 주택도시기금 재수탁기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 메타버스 어린이 금융 교육 운영
- 우리금융, 2년 연속 ‘역대 최대 순익’ 달성…3조1693억
- 흥국생명, 고객 응급상황 신속 대응 '안전사고 예방교육' 진행
- 우리은행 ‘도전! 우리펫모델’ 기념 NFT 발행
- 우리은행, 민간 금융권 최초 IGS 참여호 미래유망산업 금융지원
- 우리은행, 신입행원 플로깅 봉사 실시
- 우리은행, 금리인하요구권 활성화…소비자 권익 높였다
- 우리은행,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판매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