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농식품부
사진 제공=농식품부

국민의 4명 중 1명은 반려동물을 키우고, 월평균 양육비는 15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 비율을 조사한 결과, 반려동물을 현재 거주지에서 직접 양육하는 비율은 25.4%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75.6%가 ‘개’를 기르고 있었고, ‘고양이’ 27.7%, ‘물고기’ 7.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1마리당 월평균 양육 비용(병원비 포함)은 약 15만원으로 나타났다.

20대의 양육비는 월평균 약 21만원으로 다른 연령층보다 많고, 1인 가구는 17만원으로 2명 이상 가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용(병원비 포함)은 전년 대비 약 3만 원 증가했다.

최근 1년 이내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 이용경험에 대해 물어본 결과, 동물병원(71.8%), 미용업체(51.3%), 동물놀이터(28.3%)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입양 경로에 대해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음’ 40.3%, ‘펫숍에서 구입함’ 21.9%,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받음’ 11.6%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양육자의 22.1%가 양육을 포기하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포기 또는 파양 고려 이유로는 ‘물건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문제’가 28.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6.0%),  ‘이사·취업 등 여건이 변화’(17.1%) 순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동물보호 전담인력 적정성에 대해 물어본 결과, 53.8%(너무 부족 19.0% + 약간 부족 34.8%)가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반려견 소유자의 준수사항 인지도에 대해 물어본 결과, ‘인지하고 있다’는 응답이 63.0%로 나타났다. 준수 정도에 대하여 ‘준수하고 있다’는 응답이 양육자는 83.1%, 미양육자는 33.6%로 나타났다.

2021년과 비교하여 반려견 양육자와 미양육자 모두 준수한다는 응답이 증가(양육자 3.6%p, 미양육자 5.6%p)했다. 

동물학대로 생각되는 행위에 대해 ‘물리적 학대 행위’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뜬장, 좁고 어두운 공간 사육, 음식물 쓰레기 급여 등)’을 학대로 인식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동물학대 목격 시 행동에 물어본 결과, ‘국가기관(경찰, 지자체 등)에 신고한다’(54.3%), ‘동물보호단체 등에 도움을 요청한다’(45.6%), ‘학대자에게 학대를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한다’(24.5%),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13.1%) 순으로 나타났다.

임영조 농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장은 “이번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동물 보호 및 복지에 대한 국민의식 정도와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2023년부터는 기존의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를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로 개편하고, 동물보호를 포괄하는 동물복지 개선을 위한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반려동물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