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광화문 본사 전경.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 광화문 본사 전경.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조80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했다고 31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영업이익도 46.5% 감소하며 1289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전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1.2% 감소한 7조1858억원, 영업이익은 44.9% 감소한 7111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별로 보면 Beauty사업의 4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3.7% 감소한 8701억원을, 영업이익은 57.7% 감소한 79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중국 광군제 행사에서 ‘후’ 브랜드가 틱톡, 콰이쇼우 등과 같은 신규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1위를 달성하며 온라인 채널의 다각화 측면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중국내 코로나가 재확산 되며 중국 현지와 면세점 등 주요 채널에서 매출이 영향을 받았다. 

HDB사업의 경우 4분기에 매출 526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5.0%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6.7% 감소한 189억원을 기록했다.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지속적인 마케팅 투자로 ‘닥터그루트’와 ‘피지오겔’의 고객 접점을 확대하며 브랜드 로열티를 꾸준히 제고했고 특히 ‘피지오겔 데일리뮨 디펜스 쿠션’이 연말 홈쇼핑에서 좋은 성과를 내며 뷰티 카테고리로의 확장 가능성도 확인했다. 

프리미엄 치약 브랜드 ‘유시몰’은 치아미백제와 화이트닝 치약을 출시하며 실내 마스크 해제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치아 미백 제품을 선보였다.

Refreshment사업의 4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7.8% 성장한 4112억원, 영업이익은 8.1% 감소한 30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는 음료 사업의 계절적 비수기지만 지난해 11월 카타르 월드컵의 영향으로 편의점과 배달 채널 등에서 탄산음료 판매가 증가하며 매출이 성장했지만 원부자재 단가 인상에 따른 원가 부담 지속으로 수익성 개선은 어려웠다. 

‘코카콜라 월드컵 스페셜 패키지‘, ‘스프라이트 제로X블랙 팬서’, ‘파워에이드 월드컵 패키지’ 등 한정판 스페셜 패키지를 출시해 브랜드 친밀도와 소비자 접점을 강화했으며 에너지음료의 판매 호조세가 두드러지며 ‘몬스터에너지’는 매출이 29.0% 성장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4분기에도 국내외 경기 침체 및 소비 둔화가 사업 전반에 영향을 줬다”며 “매출 감소에 더해 경쟁심화에 따른 비용 증가와 원자재가 상승 여파에 따른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