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류 열풍에 힘입어 국내 콘텐츠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2021년 기준 콘텐츠산업조사(2022년 실시)’ 결과를 4일 발표했다. 202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사상 최대 124억 달러를 돌파했고, 매출액도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콘텐츠산업조사’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콘텐츠산업 분류에 근거해 11개 산업(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에 대한 통계정보를 제공한다.
202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124억5000만달러로 2020년 119억2000만달러 대비 4.4% 증가해 1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2021년 한류동호회 인원이 1억50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한류 열풍에 힘입어, 콘텐츠 수출액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가전(86억7000만달러), 이차전지(86억7000만달러), 전기차(69억9000만달러), 디스플레이 패널(36억달러) 등 주요 품목을 넘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한국문화 콘텐츠 수출이 1억달러 증가할 때, 화장품, 식품 등 소비재 수출도 1억8000만달러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22년 발표)됐다. 앞으로도 콘텐츠 산업 수출은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측되며 동시에 제조업, 서비스업의 동반 성장과 수출도 견인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1년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137조5000억원으로 2020년 대비 7.1% 증가했다. 콘텐츠산업은 코로나19 장기화와 세계 경제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전체 산업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경기침체를 돌파할 주요 산업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기대된다. 2021년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는 10만9000여개로 2020년 대비 9.1% 증가한 반면, 종사자 수는 61만1000여명으로 4.8% 감소했다.
문체부 박보균 장관은 이번 결과와 관련해 “올해 경제 상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콘텐츠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콘텐츠산업 진흥과 수출 확대가 주요 국정과제인 만큼, 이번 통계조사 결과를 토대로 현장감 있는 정책을 짜임새 있게 수립하고 집행해 콘텐츠 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방통위, '2023 방송대상' 우수 프로그램 응모
- 올해를 빛낸 우수 관광벤처는? 문체부·관광공사, 42개사 선정
- 한국-일본, 힘 합쳐 관광교류 회복 앞당긴다
- 중미에 싹틔운 한국문화…‘K-컬처 원정대’ 활약상 다큐로 공개
- "서울, 전 세계인이 가장 많이 검색한 여행지 4위"
- 문체부, 제2의 이승기 사태 막는다…엔터 협회·단체와 간담회
- '아바타2', 4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글로벌 누적 17억달러 돌파
- 영화 '기생충' 제작사 바른손이앤에이, 넥슨과 MOU 체결
- 경상수지, 수출 부진에 3개월 만에 6.2억 달러 적자 전환
- 케이블TV방송협회, 민간중심 '미디어법제위원회' 출범
- 지니뮤직, 해외 음원 매출 62%↑…K-팝 흥행과 동반 성장
- 콘진원 지원 K-애니 ‘샤샤&마일로’, 중국·남미 방영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