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이 2023년 지원사업 설명회를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고, 2023년 총 6238억원 규모의 예산 현황을 발표했다. 2022년 최종 예산 5472억원 대비 14% 증액된 규모다.
또한 콘진원은 각 본부별 발표로 방송, 게임, 음악,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장르별 지원사업과 정책금융, 인력양성, 해외진출 지원 등의 사업계획을 공유했다. 본 예산과 사업계획은 예산 확정 후 2023년에 사업공고 등을 통해 최종 공개될 예정이다.
2023년 예산은 ▲방송영상 1192억원 ▲게임 612억원 ▲음악 308억원, ▲애니/캐릭터 317억원, 만화 120억원 등의 규모로 편성됐다. 이중 방송영상 분야가 전년 대비 770억원이 증액되어 전년 대비 183%의 규모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OTT 특화 콘텐츠 제작지원, 방송콘텐츠 후반 제작지원 등을 통해 K-방송영상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증액이다.
게임분야는 제작지원, 인력양성 등 게임산업 육성 예산이 612억원으로, 지역콘텐츠산업 육성에 포함된 게임 예산 155억원까지 포함하면 총 767억원 규모가 투입될 예정이다. 애니메이션 분야는 기획개발, 제작지원 예산이, 캐릭터 분야는 IP라이선싱 사업화를 위한 예산이 확대되었다. 더불어 만화 분야는 웹툰 기업육성과 일자리 지원 예산이 확대됐다.
2023년 콘진원 예산 중 기능별 지원 예산은 ▲R&D 1296억원 ▲기업/인재양성 496억원 ▲해외진출 394억원 ▲투융자 159억원 ▲지역육성 415억원 등으로 편성되었다. 특히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예산이 해외진출 거점 확대와 해외 심층 정보 제공 등의 신규사업으로 전년 대비 53.5% 증가했다.
한편, 콘진원은 콘텐츠산업 지원을 위한 5대 혁신전략을 설명회에서 업계에 공유하고, 다년도 과제 신설, 복합금융 제도, 청년 특화 사업 도입 등 다양한 현장 수요 맞춤형 사업추진 계획을 전했다.
콘진원 조현래 원장은 “콘진원은 지난 한 해 동안 업계 간담회 등을 통해 다양한 현장 의견을 듣고, 사업에 반영하고자 노력해왔다”며 “이를 반영한 지원사업과 혁신전략을 통해 새해에 K-콘텐츠가 더 높이 도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전했다.
- 문체부, 콘진원 조직 축소·통합…"공공기관 고강도 혁신 추진"
- 콘진원, 투자·경영지원기관과 MOU… 신기술 융합 콘텐츠 육성
- K-컬처 확장할 CT 한자리에…‘2022 문화기술 성과전시회’
- 국내 웹툰산업 연 매출액 1.5조원 돌파…작가 59% "불공정 계약 경험"
- 국민 65% "OTT 자체등급분류제 사후관리 필요"
- '2024년 동아시아 문화도시'에 김해시 선정
- 콘진원, ‘청렴리더 클럽’ 시행…최우수 보직자 4명 위촉
- 문체부·콘진원,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 발간
- 언론진흥재단 기관운영비 7억원 감액…방만 경영 개혁 일환
- 콘진원, '문화체육관광 R&D 사업' 신규과제 공모
- 오프라인서 만나는 K-패션의 미래…콘진원, 팝업스토어 오픈
- 콘진원, UAE 콘텐츠산업 진흥기관 두 곳과 양해각서 체결
- 제2의 '우영우'·'재벌집' 키운다…콘진원, '콘텐츠금융제도' 추진
- 콘진원 지원 K-애니 ‘샤샤&마일로’, 중국·남미 방영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