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80여곳에서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2’이 개최된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과 함께 오는 5일부터 30일까지 문화역서울284와 성수동 문화공간 등에서 주제전시와 토론회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우수한 공공디자인 사례를 공유한다.
‘공공디자인’은 디자인을 매개로 다양한 사회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 모두가 안전하고 품격있는 삶을 누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처음 열리는 공공디자인 축제에서는 ‘무한상상, ◌◌디자인(공공디자인)’을 주제로 일상 속에서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발전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번 축제의 주요 무대인 문화역서울284에서는 5일부터 주제전시 ‘길몸삶터-일상에서 누리는 널리 이로운 디자인’을 개최한다. 놀이터와 시장, 정류장, 이웃, 도시 등 우리 주변의 공공영역을 ‘길, 몸, 삶, 터’로 구분해 공공영역에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선보인다. 특히 작가 42명을 비롯해 농부시장 마르쉐, 두성종이 등 민간 기업이 참여해 공공디자인에 흥미와 상상력을 더한다.
20일에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공디자인’을 주제로 토론회도 열린다. 미니 몰 영국 디자인카운슬 대표, 빅토리아 브록스 런던 디자인비엔날레 감독, 조너선 채프먼 카네기멜런대학교 교수,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최재호 현대차 정몽구재단 사무총장 등이 주요 발표자와 토론자로 나선다. 이외에도 학술대회와 교육, 어린이 프로그램, 공모전 시상식 등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행사가 이어진다.
성수동 공공디자인 특구에서는 공공디자인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전하기 위한 반짝 전시와 시장 등을 운영한다. 도시재생 지역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찾는 인기 명소인 특성을 살려 ‘1% 베터(Better): 세상을 바꾸는 아주 작은 변화’를 주제로 성수동의 문화를 만드는 브랜드 50여 개가 모여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해 지금 할 수 있는 작은 행동들을 소개한다.
전국 공공디자인 거점 80여곳에서는 ‘대한민국 공공디자인 대상’ 수상작 등 민관이 정부와 지자체가 당면한 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한 사례들을 공유한다. 국립생태원과 국립수목원, 현대차 정몽구재단의 ‘온드림 소사이어티’ 등 생태와 사회의 선순환에 앞장서고 있는 기관과 민간 기업을 통해서는 미래 공공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볼 수 있다.
- 김연아 디자인한 한복, 런던 패션쇼 무대에 오른다
- 접속하는 미술, 공공의 미디어…‘서울은 미술관’ 공공미술 컨퍼런스
- 공공디자인 국민 공모전, ‘지하철 환풍구 활용 무더위 쉼터’ 대상 수상
- 서울랜드서 미리 즐기는 할로윈 축제…‘할로우 프릭’, 15~16일 개최
- 한반도 아리랑 밀양에 모인다…‘문화의 달’, 지역순회 20주년 행사
- "모든 도시는 문화로 특별하다"…박람회&국제 학술대회 개최
-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아시아의 고고학' 학술대회 개최
- 운해 낀 월악산 제비봉…국립공원 사진공모전 대상에 ‘자연 수묵화’
- 부산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 착수
- 연령‧성별‧국적‧장애 경계 잇는 ‘공공디자인’ 찾아요
- ‘공공디자인대상’에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 예술위원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특별 대담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