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전기차가 3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보험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전기차 관련 자동차보험 현황 및 감독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동차 보험에 든 전기차는 18만3829대로 2018년 말보다 301.4%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전기차 수는 2152만4720대에서 2312만4196만대로 7.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기차의 자동차보험 가입율과 함께 보험료도 높아졌다. 지난해 개인용 전기차의 건당 평균 보험료는 94만원 가량으로 지난 2018년 70만원에 비해 34.5% 상승했다.

전기차의 평균차량가액이 비전기차에 비해 2,7배 가량 높은 만큼 보험료 차이도 컸다. 지난해 기준 비전기차의 평균 보혐로는 76만원 가량으로 18만원이 넘는 차이를 보였다.
 

전기차와 비전기차 간 사고율, 수리비 비교표. 사진=금융감독원
전기차와 비전기차 간 사고율, 수리비 비교표. 사진=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기차 사고율은 18.1%로 내연기관차량보다 2.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일리지 특약 가입자 중 1만5000km를 초과 운행한 전기차의 비중은 24.2%로 10.3%를 기록한 비전기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차이가 연비가 유리한 전기차의 특성상 주행거리가 긴데 주로 기인했다고 분석했다.

전기차와 내연자동차의 평균수리비는 각각 245만원, 188만원으로 약 30%의 차이를 보였다. 전기차 핵심부품인 고전압 배터리, 전자제어장치 및 센서 등 부품에서 오는 차이다.

특히 고전압 배터리의 경우 전문 정비업체가 부족해 부분 수리가 어렵고 교환정책을 고수하는 제작사의 경우 경미한 손상에도 전부 교체해야 한다.

다만 시장이 커지면서 손해율은 안정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전기차 손해율은 76%로 2018년 대비 21.4% 축소됐다.

이는 가입 대수 증가는 물론 사고율 감소와 평균 보험료 증가 등에 의한 것이라고 금융감독원은 분석했다.

금융감독원은 “전기차는 보급 초기 단계로 수리연구가 충분치 못해 고가의 고전압 배터리 관련 통일된 진담 및 수리·교환 기준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자동차 사고로 배터리를 교환 하는 경우 사전에 보험사와 협의해 불필요한 분쟁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고유위험으로 인한 보장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특약 상품 개발을 유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