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지주는 기업들의 ESG 투자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했다. 신한금융은 이를 통해 여신과 투자 등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신한금융은 30일 ‘ESG 평가모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모형은 국내 금융그룹 중 최초로 시도됐다.
ESG 평가모형은 기업의 ESG 투자 수준을 평가하는 ‘신한 ESG 모형’과 해당 투자에 따른 영향과 지속가능 수준을 평가하는 ‘신한 지속가능 모형’ 등 두 가지로 구분된다.
또 기업의 전반적인 ESG 수준을 A+부터 C까지 7개 등급으로 나눠 데이터 공개 규모가 비교적 큰 IFRS와 외감 기업에 대한 평가부터 시작한다. 향후 관련 데이터 누적을 통해 비외감 중소기업까지 평가를 확대해 모형을 더욱 정교화한다는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ESG 평가모형을 통해 산출된 등급을 ‘신한 ESG 우수 상생지원대출’의 대상 선정기준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신한금융은 계열사들이 ESG 평가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신한금융 조용병 회장은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이 공동 개발한 이번 ESG 평가모형은 기업의 ESG 수준을 데이터에 기반해 정량적으로 평가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ESG 리딩 금융그룹으로서 탄소배출량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ESG 실천을 더욱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금융은 지난 3월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금융자산의 탄소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체계적인 ESG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 KB증권 “워렌 버핏 투자노트 알려드려요”
- 농협은행, 인도 ‘노이다 지점’ 본인가 획득…서남아시아 진출 발판
- 신협, 상반기 인턴십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여름 맞아 김춘수 '능금'으로 새 단장
- [Daily Pick 금융] BC카드, KDB생명, DB손보, 핀다 外
- 하이투자증권, 3750억원 규모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금융주관 완료
-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 취약·연체 차주 재기 지원한다
- 하나은행 “금도 비대면으로 투자하세요”
- 신한금융 조용병 회장, 대법 결론 코앞…연임 날개 달까
- PCAF-KOREA 발족…국내 8대 금융그룹 등 15개 금융기관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