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카드가 M포인트 700만 고객이 지난해 5000억 포인트를 쌓고 4600억 포인트를 사용했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카드 M포인트는 ‘잘 쌓이고, 잘 쓸 수 있는’ 카드 포인트 제도를 지향하는 만큼 168개 브랜드, 5만9300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현대카드 M포인트는 연간 적립 대비 사용률이 93%로 국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온라인쇼핑몰·편의점·빵집·피자·카페 등 일상 속 사용처는 물론 현대차·기아의 자동차를 구매할 때 5년간 최대 200만 M포인트를 사용해 결제 금액 200만원을 차감할 수 있다.
M포인트가 없더라도 선지급 포인트 서비스인 ‘세이브-오토 서비스’를 이용해 먼저 M포인트를 지급 받아 포인트로 차량 금액의 일부를 결제한 후 이후 카드를 사용해 쌓은 M포인트로 선지급 받은 M포인트를 상환해 나갈 수도 있다.
현대카드에 따르면 최근 가장 뜨고 있는 M포인트 사용처는 바로 ‘가정 간편식’이다. M포인트 사용처에는 ‘집반찬연구소’나 ‘그리팅’, ‘CJ쿡킷’, ‘글라이드’ 등이 있다.
수산물을 집으로 배달해 주는 ‘오늘회’(20% 사용) 같은 특별한 업체에서도 M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대형 사용처에서 벗어나 취향과 자기계발을 돕는 특화 서비스도 지원한다. 먼저 그림 등 예술 작품 대여 서비스 ‘오픈갤러리’에서 M포인트를 결제금액의 20%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이 늘어난 만큼 펫프렌즈·고양이대통령·강아지대통령 등 반려동물 관련 업체까지 제휴처를 늘렸다.
외국어 학습 플랫폼인 ‘야나두’와 국내 대표 웹툰 업체인 ‘레진코믹스’에서도 구매금액의 10%를 M포인트로 해결할 수 있다.
현대카드는 고객-가맹점-카드사의 포인트 제도 자체 선순환을 유지하는 동시에 M포인트를 사용하려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도 주목했다.
M포인트를 현금화해 사용하고자 하는 고객을 위해 M포인트를 H-Coin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한 것이 대표적이다.
H-Coin은 1.5M포인트 당 1개로 교환할 수 있으며 계좌 입금이 가능하고 지방세나 국세 등 세금을 납부할 수도 있다.보험료 지불은 물론 기프트카드나 백화점 상품권으로도 교환된다.
또한 굿네이버스, 푸르메재단,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동물권행동 카라, 문화유산국민신탁 등에 M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으며 소득공제도 된다.
M포인트를 국내 항공사 마일리지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한항공은 25 M포인트를 1마일리지로, 아시아나항공은 20 M포인트를 1마일리지로 교환해 준다.
대한항공은 100마일리지(2500 M포인트) 단위로, 아시아나항공은 5000마일리지(10만 M포인트) 단위로 교환이 가능하다. 두 마일리지 모두 연간 2만 마일리지까지 전환할 수 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고객 결제데이터가 새로운 사용처를 발굴하는 나침반”이라며 “M포인트는 고객의 취향과 트렌드를 반영해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사용처를 발굴하며 계속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 [Daily Pick 금융] 현대카드, 삼성생명, NH농협생명, 상상인저축은행 外
- 독자생존 현대카드, SC제일은행 손잡고 제2도약 발판
- 카드고릴라,1분기 인기 신용카드 발표… “현대카드ZERO 1위”
- 이번엔 ‘로즈골드’…현대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골드 한정판 공개
- 현대카드 ‘더 웨이 위 빌드’ 영문판으로도 만난다
- 국민은행 “불법스팸 접촉 줄이고 금융정보 접근은 용이하게”
- JB금융, 1분기 당기순이익 1668억원 달성…전년比 26% 이익 증가
- 53만 작품 몰린 배민신춘문예… '다 져도 괜찮아' 대상 수상
- 고객이 직접 펀드 포트폴리오 짠다…우리은행 ‘DIY포트폴리오’ 서비스 선봬
- ‘일하는 방식’ 혁신한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금융 테크로 질적 이동
- 현대카드, IPO 중단…“대만 푸본금융,주요 주주로 경영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