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뱅크가 출범 5주년을 맞았다.
지난 2017년 4월 정식 출범한 케이뱅크는 6일 현재 750만 고객을 확보했다.
초반 영업을 정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지난 2020년 7월 대출 재개 이후 급성장 중이다.
2021년에만 가입자 수가 6초에 1명씩 늘며 498만명이 증가했다. 연간 평균 수신은 2조3100억원, 여신은 1조5600억원씩 성장하며 지난달 말 기준 수신 잔액은 11조5400억원, 여신 잔액은 7조810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지난해 225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첫 연간 흑자 전환에도 성공했다. 출범 첫 해, 이자수익은 134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1980억원의 이자수익을 거두며 15배 가까이 성장했다.
비이자이익 역시 2017년 86억원에서 196억원으로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예적금은 물론 전세대출과 아파트담보대출 등 모든 상품을 100% 비대면으로 구현하며 은행의 영업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지난 2020년 8월 출시한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은 전자상환 위임장을 도입해 10여종에 달하던 제출 서류를 2가지로 간소화했다. 편리한 대출 절차에 업계 최저 수준의 금리가 더해지며 출시 1년만에 1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8월 내놓은 전세대출도 금리경쟁력을 앞세워 출시 6개월만에 6000억원을 넘어섰다.
예금상품에선 파격적인 혜택과 재미를 동시에 제공했다.
정기예금인 ‘코드K정기예금’은 복잡한 우대조건 없이 연 2.1%의 금리를 제공한다. 지난해 11월 가입 후 2주 안에 금리가 오르면 인상된 금리를 자동 소급 적용하는 금리보장서비스를 도입 후 네 달간 35억원의 이자를 고객에게 돌려줬다.
파킹통장 ‘플러스박스’는 하루만 보관해도 최대 3억원까지 연 1.0% 금리 혜택을 제공해 고객 사이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중저신용 대출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케이뱅크는 신용평가모형(CSS) 고도화를 통해 중저신용자와 씬파일러 고객들에게 금융 혜택을 확대했다.
케이뱅크는 출범 이후 지난달까지 5년간 2조5000억여원의 중저신용대출을 실행, 지난달 말 기준 중저신용대출 비중 20%를 넘겼다.
지난해 케이뱅크 중금리 평균금리는 5.98%로 저축은행 평균금리는 14.96%의 40% 수준에 불과했다.
출범 이후 지난해까지 케이뱅크로의 대환금액은 약 3000억원으로, 금리를 고려하면 케이뱅크 고객은 약 400억원의 누적 이자 부담 경감 효과를 누린 것으로 분석됐다.
케이뱅크는 통신사 요금제, 할부금 등의 통신데이터와 백화점, 마트 등 쇼핑데이터를 활용하는 맞춤형 CSS를 개발해 금융 이력 부족으로 상환 능력을 갖췄음에도 대출을 받지 못하던 씬파일러 고객의 대출 문턱도 낮췄다. 최근 맞춤형 CSS 도입으로 씬파일러 고객의 대출 승인률이 약 31.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케이뱅크는 출범 5주년을 맞아 4월 한 달간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신용대출, 신용대출 플러스, 마이너스 통장 대출 등 3종의 대출상품에 신규 가입 고객 중 5명을 추첨해 1년 치 대출이자 전액을 돌려준다. 추첨은 5월 3일이며 당첨자는 3개월 차 이자납입일까지 가입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 이달 중 신용점수를 확인하는 고객 중 추첨을 통해 5000명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모바일 상품권을 증정한다. 이벤트 페이지에서 ‘지금 참여할게요’를 선택해 내 신용점수를 확인하면 자동 응모된다.
이밖에도 플러스체크카드로 페이(Pay) 서비스를 첫 결제하는 고객에게는 3000원을 되돌려 준다.
케이뱅크 서호성 은행장은 “출범 후 100% 비대면 금융 혁신을 이끌어 온 케이뱅크는 앞으로도 재미와 혜택을 결합한 예적금 상품과 100% 비대면 대출 상품을 계속 선보일 것”이라며 “동시에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투자 서비스, 각 업권 선도사업자들과의 제휴를 통해 디지털금융플랫폼으로 한번 더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 청문회 19일 확정
- 신한베트남은행, 베트남 상업용 부동산 금융자문
- 하나은행, 장묘 서비스 담은 ‘봉안플랜신탁’ 선봬
- 신협 ‘2021년 신협공제 시상식’ 개최
- 우리은행, 부동산플랫폼 ‘우리원더랜드’ 모바일앱 선봬
- 신한은행, ‘식권대장’ 플랫폼 운영 중인 벤디스와 손잡았다
- 푸본현대생명, 12개 부문 신입·경력사원 공개채용
- 연봉 인상에 테슬라 선물…IT 인력잡기 나선 은행들
- [Daily Pick 유통] 롯데슈퍼, LG생활건강, 오뚜기, 쿠팡 外
- 고객 수 늘린 케이뱅크, 1분기 순이익 245억원으로 껑충
- 파킹통장 경쟁도 불 붙었다…인뱅·저축은행, 고객확보 사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