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직원들이 주말 자율연수 프로그램을 메타버스로 활용한 모습. 사진=하나은행
하나은행 직원들이 주말 자율연수 프로그램을 메타버스로 활용한 모습. 사진=하나은행

하나은행도 메타버스 생태계에 올라탔다.

하나은행은 6일 디지털경험본부 조직 내 ‘디지털혁신TFT’를 신설했다.

디지털혁신TFT에선 원천기술 보유업체와 사업 협력, 투자 방향 등을 검토한다. 또 PB고객을 위한 세미나, 강연 및 상담서비스도 전개할 계획이다.

메타버스는 젊은 고객층의 관심이 높은 만큼 MZ세대와 소통을 위한 체험 공간도 마련한다.

궁극적 목표는 VR, AR 기술을 활용한 영업지원이다. 고객 관리는 물론 가상 영업점을 통한 판매채널 확대까지 다양한 접근 방식을 검토하고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에 신설된 디지털혁신TFT에선 일단 메타버스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 내부 활동부터 시작했다.

디지털경험본부 유닛리더 회의에서 직원들은 메타버스 플랫폼인 '이프랜드(ifland)'에 접속 후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해 각자 준비한 자료도 공유하며 자유롭게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만큼 향후 본점 뿐만 아니라, 영업현장 회의 등에도 이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하나은행은 현재 직원들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운영 중인 주말 자율연수 프로그램을 기존 화상연수 방식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방식으로 전환했다.

최근 디지털에 익숙한 MZ세대 직원들의 특성을 고려한 메타버스 연수를 실시했으며 아바타를 활용해 마치 게임에 참여하는 듯한 재미요소를 교육에 접목해 강의 몰입도를 높였다.

향후 지식포럼, 리더십 과정 등으로 확대해 교육 분야에서도 메타버스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하나은행 디지털혁신TFT 관계자는 “온택트, 가상현실 등 새로운 환경에 익숙한 MZ세대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단순히 가상의 은행 점포를 만들거나 회의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기존 접근방식을 넘어 관련 산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장기 과제를 도출해 단계별로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