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2명 중 1명은 불편한 청구절차로 보험금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들이 실손보험 보험금 청구와 관련해 느끼는 불편함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소비자연맹·녹색소비자연대·소비자와함께 등 3개 시민단체는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23~26일 만 20세 이상 최근 2년간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하고 있는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손의료보험 보험금 청구 관련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6일 밝혔다.
코리아리서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2년 이내에 실손의료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었음에도 청구를 포기한 경험이 전체 응답의 47.2%나 됐다.
이들이 청구를 포기한 금액은 30만원 이하의 소액청구건이 95.2%에 달했다. 이들이 청구를 포기한 사유로는 진료금액이 적어서(51.3%), 진료당일 보험사에 제출할 서류를 미처 챙기지 못했는데 다시 병원을 방문할 시간이 없어서(46.6%), 증빙서류를 보내는 것이 귀찮아서(23.5%) 등이었다.
적은 금액의 실손의료보험의 보험금 청구는 시간이 없고 귀찮아서 포기하고 있는 셈이다.
또 코리아리서치 설문조사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실손의료보험 청구에 대해 편리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36.3%에 불과했다.
특히 실손의료보험 보험금 청구시 전산 청구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78.6%나 됐다. 본인 동의 시 진료받은 병원에서 보험사로 증빙서류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해 85.8%가 동의했다으며, 보험금 청구 시 증빙서류를 전산시스템으로 발송할 경우 개인정보보호가 잘되고 신뢰도가 높은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것을 선호했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실손의료보험 청구 전산화는 의료계나 보험사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한 제도개선임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여·야가 모두 실손의료보험 청구전산화를 위한 법안을 발의한 만큼 조속히 관련 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켜 관련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 올해 노후실손보험료 최고 27.7% 인상
- 우리은행, 실손보험 빠른 청구서비스 2주만에 1200건 돌파
- 대형 손해보험사, 수익성 중심 경영전략 '최우선 과제'
- 공매도 축소 속 코스피 반등 시작…1% 오른 3178.74
- 보험대리점 GA ‘부익부 빈익빈’…대형화 추세 속 중·소형사 위태
-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입법 공청회…의료계 또 반대
- 금융위, 손해사정제도 개편으로 보험사 ‘손해사정 위탁’ 막는다
- 받은 만큼 더 내는 4세대 실손보험 7월 출시
- 표류만 12년째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올해는 국회 문턱 넘을까
- '적자 누적' 실손보험 비급여 항목 지급기준 손본다
- 14년 표류 마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갈등은 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