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2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물류산업 AI혁신을 위한 국회세미나'에 참가해, 물류산업 환경 변화와 기술 진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동력으로 '피지컬AI를 통한 물류 AX(AI전환) 전략'을 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피지컬AI 시작은 물류 AI부터'를 주제로, 정부의 AI 육성 정책에 발맞춰 물류산업의 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더불어민주당 손명수·정진욱·한민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주관했으며,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가 후원했다.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은 '넥스트 레벨 물류, 피지컬AI로 가다'를 주제로 발표하고, 피지컬AI가 물류센터의 자율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 미래 물류 혁신을 이끌 핵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피지컬AI는 실제 물리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해 행동까지 수행하는 기술로,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AI 기반 전환(AX)을 실현하는 동력으로 꼽힌다.

물류 산업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매일 처리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어, AI 학습에 유리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피지컬AI 기술을 가장 빠르게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테스트베드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CJ대한통운은 피지컬AI 기반 물류 AX가 본격화되면 단순한 물류 효율화뿐 아니라 제조·유통 등 물리적 이동이 필요한 산업 전반의 비용 절감과 공급망 경쟁력 강화, 배송 서비스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발표에서 CJ대한통운은 AI 전환(AX)을 위한 전략으로 △AI 기반 의사결정을 통한 지능형 물류센터 구축 △작업 효율성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물류공정 로봇 자동화 △자율주행·로봇 기술을 활용한 수배송 네트워크 최적화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CJ대한통운은 AI 기반 물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물류 AI 얼라이언스'도 활발히 확장하고 있다. 로보티즈·레인보우로보틱스(하드웨어), 에이딘로보틱스(로봇핸드) 등과 협업을 확대해 왔으며, 최근에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개발을 위해 리얼월드AI와 지분 투자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한편 이번 세미나에는 CJ대한통운 외에도 장영재 카이스트 AI연구소 소장,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손동신 LG CNS 스마트물류센터 로봇담당위원 등이 참여해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진 종합 토론에는 심지영 국토교통부 첨단물류과 과장, 권순목 산업통상자원부 제조AI확산TF 과장, 송창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바이스AX혁신팀장, 박일우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 PD 등 관계 기관 및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물류산업 AI 전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키워드
#CJ대한통운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