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투자협회 서유석 회장이 제7대 협회장 선거 출마 의사를 공식적으로 드러냈다. 현직 회장의 연임 도전은 금투협 역사상 처음이다.
서 회장은 1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인근에서 취재진과 만나 "다른 후보보다 금융투자 업계와 자본시장 발전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출마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서 회장은 "현직 회장으로서 시급한 현안을 제쳐두고 일찍부터 선거운동에 나설 수 없었다"며 출마 선언이 늦어진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최근 회원사 대표들을 만나며 큰 용기를 얻었고 확신이 섰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출마 이유로 세 가지를 들었다. 먼저 3년간 회원사의 어려움을 공감하며 문제를 해결해왔고 업계 활동을 위축시키는 규제에 맞섰다는 점을 내세웠다. 서 회장은 "증권·운용을 비롯한 금융투자 업계 전체를 망라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회원사와 자본시장의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가면서 실질적인 성과를 낼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대관 능력도 강조했다. 서 회장은 "지난 3년간 금융당국을 비롯한 정부, 여야 국회의원, 유관기관·유력 인사들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다"며 "새로운 사람이 이런 관계를 형성하려면 최소 2년 이상 소요될 것"이라고 했다.
코스피 5000 시대를 넘어선 비전도 제시했다. 서 회장은 "코스피 5000을 눈앞에 둔 지금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오명을 벗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며 "비욘드 코스피 5000 시대의 문을 활짝 열어 한국을 아시아 금융허브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서 회장은 "새 정부의 강력한 '마켓 프렌들리' 정책으로 우리 자본시장은 전례 없는 변화를 맞고 있다"며 "향후 몇 년이 한국 자본시장 역사에 정말 중요한 골든타임"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골든타임 때 필요한 것은 리더십 교체가 아니라 책임감과 강한 추진력을 가진 리더십의 연속성"이라고 덧붙였다.
전관예우 조항과 관련한 논란에 관해서는 "전임 회장과 일회성 개별 고문 계약을 한 것"이라며 "절대 제도화한 것이 아니며 퇴임할 때는 협회와 어떤 고문 계약도 하지 않겠다"고 했다.
서 회장은 회원사 추천서를 받아 후보 등록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미 선거운동과 협회 업무를 병행하기 위해 별도 사무실도 계약했다. 서 회장은 "선거와 관련된 부분은 독립성을 유지하고 관여하지 않되 협회 일은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