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A(종합자산관리계좌)로 운용되는 금융상품 중 국내에 투자되는 금융투자자산의 비중이 증가했다.
2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ISA에서 운용되는 주식·ETF(상장지수펀드)·펀드 등의 금융투자상품 규모는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30조원을 기록하며 전체 ISA 운용자산 45조2000억원의 66.4%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ISA 내 금융투자상품 규모 19조7000억원이 전체 운용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비교해 운용규모는 10조3000억원 비중은 7.4%p가 각각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예·적금은 13조7000억원에서 15조2000억원으로 늘었지만 운용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0%에서 33.6%로 줄었다.
금융투자상품 내에서도 국내에 투자되는 상품의 비중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말 ISA 내 금융투자상품에서 국내 투자상품은 12조8000억원으로 65.0%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지난 8월 말 19조8000억원으로 늘며 비중은 66.0%로 1.0%p가 증가했다. 반면 해외 투자상품은 규모가 같은 기간 6조9000억원에서 10조2000억원으로 늘었으나 그 비중은 35.0%에서 34.0%로 감소했다.
주요 금융투자상품별로 살펴보면 ETF의 경우 국내투자ETF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4년 말 21.2%에서 지난 8월 말 27.3%로 6.1%p 증가한 반면 해외투자ETF는 78.8%에서 72.7%로 감소했다.
국내펀드 비중도 2024년 말 45.6%에서 지난 8월 말 47.9%로 2.3%p 증가한 반면 해외펀드는 54.4%에서 52.1%로 감소했다.
국내주식은 2024년 말 6조1000억원에서 지난 8월 말 9조4000억원으로 약 3조3000억원이 증가해 금융투자상품 내에서의 비중이 30.7%에서 31.4%로 0.7%p 늘었다.
ISA는 하나의 계좌에서 국내상장주식·ETF·펀드·리츠·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면서 세제혜택도 받을 수 있는 계좌형 상품으로 국민의 종합적 자산관리를 통한 재산형성 지원을 위해 2016년 3월 출시됐다. 가장 큰 장점은 절세다. 일정기간 경과 후 계좌 내 금융상품 간 이익과 손실을 통산해 순이익을 기준으로 일반형 기준 최대 200만원까지 비과세되고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는 저율의 분리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이처럼 세제혜택이 부여되는 계좌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해외 투자 금융상품 비중이 다소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ISA는 국내 상장시장에서 거래되는 국내주식·국내주식형 ETF의 양도차익에 비과세 혜택을 얻는다. 이에 투자자들이 그간 운용자산 수익률과 절세 효과 극대화 등을 고려해 해외 투자 상품의 비중을 높게 가져왔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최근 국내 증시로 유입되는 투자자금이 늘고 주가지수도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국내 투자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선호가 늘며 해외 투자자산에서 국내 투자자산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증가한 것이 ISA 내 국내 금융투자상품 비중이 확대된 주요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환태 금투협 산업시장본부장은 "우리 국민들의 ISA를 통한 자산관리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세제혜택·가입연령 확대 등의 장기투자 인센티브가 늘어난다면 국내 자본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이 가속화돼 생산적 금융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