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항공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883억원, 영업손실 550억원, 당기순손실 602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약 19% 감소한 수치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했다.
제주항공은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원·달러 평균환율 상승과 공급 증가에 따른 중단거리 노선의 가격 경쟁 심화를 들었다. 항공기 임차료, 정비비 등 달러로 결제하는 비용이 증가했고, 일본 지진설 여파로 일본 노선의 성수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추석 연휴가 10월에 포함된 점도 수익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항공은 기단 현대화와 함께 구매기 비중 확대를 통해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2023년부터 차세대 항공기 B737-8 도입을 시작해 올해 계획한 6대의 B737-8을 모두 구매 도입했다. 이를 통해 경년 항공기는 반납하고, 신규 항공기를 구매해 운용하는 방식으로 연간 약 14%의 운용 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제주항공은 총 43대의 여객기를 보유 중이며, 이 중 차세대 항공기는 8대로 전체의 18.6%를 차지한다. 구매기 기준으로는 기존 B737-800NG 5대와 B737-8 8대를 포함해 총 13대로 30% 비중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단 현대화와 구매기 비중 확대를 통한 체질개선으로 차별화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라며 "지속가능한 이익구조를 갖춰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실적 개선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수험생을 응원합니다"…제주항공, 수험생·가족 국내선 20% 할인
- 제주항공, 'B737-8' 8호기 구매 도입…전체 항공기 29.5% '직영체제' 전환
- 제주항공, '쓱데이' 맞아 항공권 할인·경품 이벤트 진행
- 제주항공 '비즈니스 라이트' 만족도 78%…가족여행 이용 높아
- 제주항공, 인천~발리 노선 1주년…누적 10만 명 돌파
- 제주항공 중국노선, '한중 무비자' 효과로 전년 실적 10월에 추월
- 제주항공, 3년 연속 ESG 평가 통합 A등급…ESG 경영 선도 항공사로 자리매김
- 제주항공 '모두락', 장애인 고용 우수사업주 선정
- "어린이 혼자도 안심"…제주항공, '안심 케어 서비스' 할인 이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