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ImageFX.
사진=ImageFX.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정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6월 말 8.37%까지 치솟았던 연체율을 9월 말 6.78%로 낮췄다. 연말까지 5%대 진입을 목표로 삼았다. 신협도 같은 기간 8.36%에서 7%대 초반으로 연체율을 끌어내린 뒤 연말 6%대 달성을 추진 중이다.

신협중앙회는 지난 5일 대부업 자회사 'KCU NPL 대부'에 2000억원을 추가 출자하며 자본금을 4000억원으로 확대했다. NPL 자회사는 자기자본의 10배까지 자산 매입이 가능한 만큼 부실채권 처리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새마을금고 역시 7월 출범한 자산관리회사와 NPL 자회사를 활용해 하반기 4조원 이상 부실채권을 정리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도 6차 PF 정상화 펀드 조성과 사업장 재구조화 등으로 잔여 부실 해소에 나섰다.

예금자보호 한도가 9월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었지만 2금융권의 수신 금리 경쟁은 오히려 사그라든 모습이다.

저축은행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전날 기준 연 2.67%로 9월 초(2.99%)보다 0.2%p 넘게 내렸다. 금리 3%대 상품은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상호금융권 예금 금리도 연 2.8~3.1% 수준이다.

PF 부실 여파로 기업대출이 어렵고 가계대출 규제도 강화된 상황에서 굳이 수신을 늘릴 이유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 급격히 유입된 자금을 운용하려다 PF 등 고위험 상품에 손댄 것이 부실로 이어졌다는 반성도 작용했다. PF 사태가 마무리되지 않은 만큼 연말까지는 여수신 영업보다 부실 관리에 무게를 둘 것으로 예측된다.

금융감독원은 신협 등 상호금융권 연체율을 6월 말 5.7%에서 연말까지 4%대로 낮추기 위해 기관별 관리 계획을 받았다. 연체율이 높은 신협은 중앙회가 조합별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개별 검사에도 나선다.

근본적 체질 개선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와 혁신안을 마련해 지역 협동조합으로서 정체성을 되살리고 지역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상호금융업권·관계부처와 제도개선 TF를 운영하며 대형 조합 금융사고 발생 시 임원 제재 가이드라인과 상임감사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다만 이사장 권한이 강한 조합 특성과 분산된 주무부처 간 조율이 걸림돌로 지적된다.

저축은행은 최근 햇살론 등 정책금융상품 취급과 비수도권 여신 공급 시 인센티브를 주는 감독규정 개정안이 시행됐다. 적기시정조치를 받았던 상상인저축은행이 수년 만에 매각 계약을 맺는 등 M&A를 통한 구조조정도 활발해지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