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서원(書院)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세운 성리학 교육기관이다. 우리 교육·사상·문화의 뿌리를 살필 수 있어 오늘날에도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전국에는 670여 개의 서원이 남아있는데, 이 중 9곳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인류의 유산'으로 인정받은 서원들을 걸어본다.
지식을 넘어 수양하던 공간
한국의 서원은 조선의 성리학(중국 송나라 때 주희가 집대성한 유학의 한 파) 교육과 사회적 확산을 주도한 곳이다. 요즘으로 치면 사립 고등교육기관으로, 대부분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에 걸쳐 건립됐다. 서원은 교육·연구뿐만 아니라 사회 교화와 지방 사림 세력(선비들)이 모이는 핵심 거점 역할도 했다.

서원 내부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향(서원과 관련한 선현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의식)을 올리는 건축물이 위치한 '제향 영역' △유생들의 공부와 숙식을 위한 공간인 '강학 영역' △모임과 휴식을 위한 '교류 및 유식 영역'이다. '유식'은 자연 속에서 수양하고 휴식하는 걸 말한다. 선비들은 이를 성리학을 배우는 과정의 하나로 여겼다. 이러한 배경에서 성리학자들은 지형과 자연경관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서원을 지었다.
유네스코(UNESCO)는 한국의 서원 중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이상 건립 순)을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해야 할 뛰어난 가치가 있다고 인정해 지난 2019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국가가 공인한 첫 서원
소수서원은 중종 37년(1542년) 풍기군수 주세붕이 고려말 유학자인 안향이 태어나 자란 자리에 사묘(제사를 지내는 건축물)를 세우고, 다음 해(1543년) 백운동서원을 건립한 데서 비롯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면서 첫 사액서원이다. '사액서원'은 왕이 서원명을 하사하고 서적·노비·토지 등 특전을 부여한 국가 공인 서원을 말한다. 풍기군수로 부임한 이황이 명종 4년(1549)에 왕에게 건의해 '소수서원'이라는 친필 현판과 서적 등을 하사받았다. '소수(紹修)'라는 서원 이름은 '학문을 이어 닦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소수서원의 강학 공간에는 강의를 듣는 강학당을 중심으로 원생들이 생활하며 공부하는 직락재와 학구재, 학장과 교수들의 숙소이자 집무실인 직방재와 일신재 등이 있다. 제향 공간에는 안향, 안축, 안보, 주세붕의 위패를 모신 문성공묘, 제향 시 사용하는 물품을 보관하는 전사청, 안향 등 6명의 영정을 모신 영정각 등이 있다. 유식 공간에는 소나무숲과 죽계, 경렴정, 취한대 등이 있다.
소수서원은 최초의 사액서원답게 뛰어난 인재를 많이 배출했다. 소수서원에서 학문을 닦은 사람들의 명부인 '입원록'에는 조목, 권문해, 정탁, 김륵, 김성일, 금난수, 남사고 등 당대의 명사들이 기록돼 있다. 이들 대부분은 퇴계 이황의 제자들이거나 퇴계 이황의 학맥과 연관이 있기도 하다.
소수서원은 임진왜란(1592~1598년), 병자호란(1636~1637년) 등 나라의 큰 변고가 있었던 시기 외에는 꾸준히 원생을 교육했다. 중종 38년(1543년) 3명의 원생을 시작으로 고종 25년(1888년) 마지막 입원생을 받을 때까지 4000명이 넘는 학자를 배출한 인재의 요람이었다.

독특한 건물 배치… 절터에 지은 서원
소수서원은 다른 서원의 건립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서원이 교육기관으로서 강학, 제향, 교류와 유식 등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소수서원은 이후 세워진 서원들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다수의 서원은 강학 공간을 앞쪽에, 제향 공간을 뒤쪽에 뒀다. 그리고 이를 중심축으로 삼아 여러 건물을 대칭되게 배치했다. 그런데 소수서원은 동쪽에 강학 공간, 서쪽에 제향 공간을 뒀다. 개개 건물의 배치도 자유롭다. 이는 서원 배치가 정형화되기 이전에 소수서원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서쪽을 으뜸으로 삼는다'는 우리나라 전통 위차법(位次法)의 예를 따른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유교의 성지 소수서원에서 불교 유적을 만날 수 있는 것도 이채롭다. 소수서원 매표소를 지나 조금만 걷다 보면 오래된 당간지주를 볼 수 있다. 당간지주는 절 입구에 세운, 깃대와 비슷한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하는 돌기둥이다. 사찰의 상징인 셈이다. 여기에 당간지주가 있는 것은 소수서원이 통일신라 시대 사찰인 숙수사 자리에 세워졌기 때문이다. 출토된 유물이나 유적을 보면, 숙수사는 인근 부석사 못지않게 큰 절이었다고 한다. 당간지주 역시 통일신라 시대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