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건 토스 대표가 키노트를 진행 중이다. 사진=비바리퍼블리카
이승건 토스 대표가 키노트를 진행 중이다. 사진=비바리퍼블리카

토스의 조직문화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승건 토스 대표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토스답게 일하는 방식’의 핵심으로 실무자가 주도하는 의사결정 구조를 강조했다.

이 대표는 "토스답게 일하는 문화의 핵심은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가 강력하게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라며 "실제 실무를 담당하는 팀원들이 회사를 대표해 결정을 내린다. 보고받는 임원이 아니라"라고 밝혔다.

그는 임원과 실무자가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조직문화를 설명하며 "DRI가 구호나 형식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배문화로 작동하기 때문에 임원도 특정 실무자의 업무에 대해 자유롭게 비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이런 전제가 없는 상태에서 임원의 강력한 개입만 있다면 "그건 그저 악성 탑다운 문화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었다.

또한 실무자의 자율적 결정이 때로는 회사 전체에 의도치 않은 피해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그 결과를 낸 팀원을 외부화하거나 조롱하지 않고, 임원과 팀원 모두가 공동의 결정으로 인식하고 문제 해결에 힘쓴다"며 "불행한 결과를 원팀으로 책임지는 것이 토스다운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관련 업권에서는 카카오 CPO로 자리를 옮긴 홍민택 전 토스뱅크 대표를 둘러싼 노사갈등을 두고 메시지를 던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키워드
#토스 #카카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