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네옴시티 내 AI 데이터센터에 냉각설루션을 공급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조주완 LG전자 CEO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칼리드 알팔리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 장관과 만나, 네옴시티 '옥사곤'에 건설 중인 AI 데이터센터의 냉각설루션 공급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LG전자는 이번 논의를 통해 사우디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으며, 이는 중동 시장 내 전략적 전환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LG전자는 1995년 사우디 셰이커 그룹과의 에어컨 사업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2006년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사우디 현지 생산 기반을 강화해 왔다. 이번 협력 논의 역시 약 30년에 걸친 파트너십 신뢰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LG전자는 사우디 내 유통기업 셰이커 그룹, 데이터 인프라기업 데이터볼트 등과 협력 중인 HVAC 사업에 대해서도 사우디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요청했다.
알팔리 장관은 "LG와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 감사하다"며 "사우디는 수출 주도형 국가로 변화 중이며 수출을 이끄는 사업에 대해선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이달 사우디 리야드에서 셰이커 그룹 회장, 데이터볼트 CEO와 만나 차세대 데이터센터 열관리 설루션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데이터볼트는 사우디·아랍에미리트·우즈베키스탄·인도·미국 등에 기반을 두고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현재 중동 최대 규모의 넷제로 AI 데이터센터를 네옴시티에 구축중이다.
LG전자 조주완 CEO는 최근 링크드인에서 "중동과 아프리카는 정부 주도의 변화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 힘입어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중동을 포함한 잠재력이 높은 글로벌사우스 시장에서 지속 가능하고 장기적인 기회를 구축하는 것이 LG전자의 성장 전략"이라고 밝혔다. 또 'IFA 2025' 현장에서 "데이터볼트의 데이터센터에 냉각설루션이 모두 들어가게 되면 조 단위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낸 바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의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라며 "LG전자가 선제적으로 옥사곤 프로젝트 수주를 확보한 것은 향후 중동지역 내 사업 기회 확대를 위한 전략적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