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카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영세 중소가맹점의 매출이 증가하고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도 늘어났다고 18일 밝혔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전 3개월 평균과 지급 후 1개월 동안의 영세 중소가맹점의 매출액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의 매출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가맹점 규모별로 보면, 연 매출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가맹점에서는 6.4%,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는 5.9%,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는 6.5%로 나타났다.
규모가 작은 영세 가맹점일수록 매출 증가효과가 중소 가맹점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매출 증가에 따라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주의 인당 카드 이용액은 12.6% 증가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5억원 이하 가맹점주와 10억원 이하 가맹점주는 각각 8.8%, 2.6% 늘어났다. 30억원 이하 가맹점주는 오히려 0.2% 감소해 가맹점 규모가 작을수록 가맹점주의 소비 여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가맹점주의 경우 일반 개인과 달리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가맹점 홍보를 위해 광고대행사에 지출하거나, 일반 사무용품 구매에 활용하는 등 사업 필요 경비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신한카드의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영세 가맹점(연 매출 3억원 이하)과 일반 가맹점의 경제고충지수는 각각 87.9, 81.3으로 집계됐다.
올해 4월 이후 지속 하락하는 추세로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는 카드 데이터를 비롯한 미시 경제지표 15개와 거시 경제지표 5개를 결합해 사업운영 관련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고충을 표준화한 지수다.
수치가 높을수록 소상공인의 경제적 고충이 높음을 의미한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 국민에게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진작 효과 뿐만 아니라 경제 선순환을 위한 마중물로서 역할을 해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 신한카드, 추석 트렌드 반영한 대고객 이벤트 실시
- 신한카드, 'Air One 카드' 플러스 혜택 이벤트 진행
- 신한카드, 플랜 시리즈 100만매 돌파 기념 이벤트 진행
-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문화소비쿠폰 영향도 분석 발표
- 신한카드, 전국 5개 스키장 통합 시즌권 'X5+시즌패스' 단독 판매
- 신한카드, 사내 AI 플랫폼 활용해 '우문현답' 활동 진행
- 신한카드 SOL트래블 체크, 250만장 발급 기념 한정판 메탈카드 출시
- 신한카드, 중국 특화 서비스 더한 신규 상품 출시
- 신한카드, 미화 4억달러 규모 해외 소셜 ABS 발행
- 신한카드, '사업자대출 Stepdown 서비스' 운영
- 신한카드, 네이버페이 개인사업자 전용카드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