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결제 사고 경위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KT 관계자. 사진=장하민 기자
소액결제 사고 경위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KT 관계자. 사진=장하민 기자

KT를 상대로 접수된 무단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가 9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면서, 실제 피해 규모가 알려진 것보다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1일 오후 6시 기준 KT에 접수된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는 총 9만2034건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지난해 전체 휴대전화 소액결제 시장에서 접수된 민원 건수(1만5044건)의 약 6배에 해당한다.

KT는 전날 발표한 조사 결과를 통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278명이며 피해 금액은 약 1억7000만원으로 결제 취소 금액을 포함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회선을 활용한 ARS 인증 방식으로 상품권 결제가 이뤄진 정황을 특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빗발치는 고객 문의 수를 고려할 때 추가 피해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정아 의원실은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열흘간 소액결제 이용자 수와 이용 금액 등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했으나, KT는 10일 "월별로 관리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정확한 현황을 즉시 추출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황 의원은 "로그기록과 요금이 모두 시스템상 남아있음에도 전체 소액결제 거래 현황은 파악할 수 없다는 KT의 의문스러운 태도가 결국 해킹 피해 규모를 축소하기 위한 것 아니냐"며 "과기부가 직접 소액결제 내역을 파악해 실제 피해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명명백백히 밝히고 축소 은폐 행위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KT는 이번 소액결제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을 아직 명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피해 정황은 확인됐지만, 일부 피해자는 해당 명단에 포함되지 않아 추가 해킹 경로나 개인정보 노출 가능성도 제기된다. 인증 과정이나 결제 방식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원인 규명을 위한 추가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