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리셉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리셉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조선·원전 등 전략 산업 분야에서 협력 강화에 나섰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재계에 따르면 지난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리셉션에는 이 회장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참석했으며, 현장에서 젠슨 황 CEO와 반갑게 포옹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날 회담을 계기로 삼성중공업은 미국 비거 마린 그룹과 '미 해군 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미 해군·해상수송사령부의 MRO 사업에 본격 참여하고, 향후 공동 건조 등 협력 범위도 넓혀갈 계획이다.

삼성중공업은 그간 방산 특수선이 아닌 상선 위주로 사업을 전개했지만, 이번 협력으로 해군 MRO 사업에 진출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이 과정에는 이재용 회장과 동행한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이 직접 협의에 참여했다.

원전 부문에서는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이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미국 페르미 아메리카와 'AI 캠퍼스 프로젝트' 건설 협력 MOU를 체결했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 릭 페리가 공동 설립한 에너지 기업으로, 텍사스주 아마릴로에 차세대 AI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원전 4기와 SMR 2기를 포함해 가스복합화력, 태양광, 배터리 ESS 등을 결합한 전력망과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건립이 포함돼 있다.

다만 업계의 기대를 모았던 반도체 분야에서는 구체적 진전이 없었다. 당초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23조원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하고 애플에 아이폰용 이미지센서를 공급하기로 한 점을 계기로, 텍사스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총 54조원 투자) 추가 투자 계획이나 HBM(고대역폭 메모리) 사업 협력 구상이 발표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반도체 전 품목에 100% 관세를 예고하면서도 미국 내 공장 설립 시 면제를 약속하고, 최근에는 인텔 지분 10%를 확보하며 최대 주주에 오른 상황이 삼성전자·TSMC 등 글로벌 기업에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기존 관세 협상 결과만 재확인됐을 뿐, 반도체 관세나 지분 인수 문제는 별도 논의되지 않았다.

키워드
#이재용회장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