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노사가 단체교섭을 통해 도출한 잠정합의안이 오는 21일 조합원 투표를 앞두고 있다. 합의안 도출로 노사 갈등은 일단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지만, 일각에서는 노조의 주 요구안이 빠진 합의안이 조합원 투표를 통과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KT 노사는 지난 18일 기본급 3% 인상, 성과금 300만원 지급 등을 포함한 올해 임단협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번 잠정합의안에 포함된 기본급 인상률은 3%로 KT 노조가 요구한 6.3%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고 지난해 3.5%보다도 낮았다.
노조는 최소 성과급의 기본급 산입과 명절 상여금 신설도 요구했지만 성과급은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고 명절 상여금은 10만~20만원 수준에서 4분기 노사협의회에서 재논의하기로 했다.
반면 승진제도는 일부 개선돼 부장 승진(G5)을 위한 직책 2년 유지 조건이 폐지됐다. 복지 분야에서는 휴대전화 지원금을 16만원 한도 내에서 자율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됐고, 자기계발출장 지원제도도 기존 10년 주기에서 5년 주기로 최대 30년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정년퇴직 1년 전 유급휴가는 60일 지원하는 것으로 합의했고, 시니어 컨설턴트 제도는 급여 300만원 인상·영업 수당 및 자격 수당을 추가 지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성과급 기본급 산입과 함께 노조의 주 요구안이던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전면 폐지는 유보됐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제시한 기본급 인상률의 절반도 안되는 합의안에 노조 내부의 비판도 거센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조합원 총투표에서 잠정합의안이 통과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