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I·삼성SDS·삼성전기 등 삼성전자 주요 계열사들이 임원 성과급 제도를 개편하고, '자사주 지급형 장기성과인센티브(LTI)'를 도입한다. 삼성전자가 올해부터 시행한 주식기준 보상 체계를 그룹 전반으로 확대하는 조치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이들 계열사는 내년부터 임원들에게 지급되는 LTI 일부를 현금 대신 자사주로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달 말 임원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도 예정돼 있다.
LTI는 재직 3년 이상 임원을 대상으로, 직전 3년간 경영 실적을 반영해 산정된 성과급을 향후 3년에 걸쳐 분할 지급하는 제도다. 성과에 따라 연봉의 최대 300%까지 책정되며, 이번 개편으로 임원 직급별 자사주 지급 비중은 상무 50%, 부사장 70%, 사장 80%, 등기임원 100%로 늘어난다.
이는 단기 실적에 치중하지 않고 주가와 기업가치 제고에 중장기적으로 기여하도록 유도하려는 취지다.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OPI(초과이익성과급)에 이어 LTI까지 주가와 연계된 주식보상 방식을 도입했고, 이번에 이를 계열사로 확대한 것이다.
박순철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성과급을 주가 및 경영성과에 연계해 임원이 장기 성과 창출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고, 회사와 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주식 보상을 목적으로 1년간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1차 매입분 3조원어치는 올해 2월 전량 소각됐고, 2차 매입분 중 2조5000억원도 소각 절차에 돌입했다. 이어 지난 8일에는 3조900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마무리했다.
이번 제도 확대에는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상법 개정안 논의에 선제 대응하려는 의도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성과급으로 부여된 자사주가 일정 기간 후 시장에 유통되는 구조인 만큼 장기적으로는 자사주 총량을 줄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