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완 우리은행장, 사진=우리은행
정진완 우리은행장, 사진=우리은행

우리은행은 10일 서울 중구 본점에서 ‘포용적 금융 플랫폼’을 주제로 기자설명회를 열고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과의 동반성장 전략을 밝혔다.

이날 설명회에서 우리은행은 자사의 기업금융 플랫폼인 △원비즈플라자 △원비즈e-MP △우리SAFE정산을 중심으로 공급망 금융·데이터 연계 금융·전자상거래 정산 안전망 구축 등 포용금융 전략을 소개했다.

정진완 은행장은 인사말에서 “중소기업은 공급망·결제망·금융지원 등 핵심 인프라를 자체 구축하기 어렵다”며 “우리은행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금융권 최초의 공급망 금융 플랫폼 ‘원비즈플라자’를 도입했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포용성장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원비즈플라자’는 구매 요청부터 발주, 검수까지 전 과정의 표준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2022년 9월 출시 이후 올해 6월 말 기준 7만8천여 기업이 가입했다. 입찰, 계약, 예산관리 등 기능 외에도 ERP 연동, 전자계약, 재고관리, 세금계산서 자동 맵핑 등 경영 전반을 지원하며, 제휴사를 통한 임직원 복지 혜택도 포함돼 있다. 우리은행은 올해 내 가입 기업 수를 10만 개로 늘릴 계획이다.

‘원비즈e-MP’는 대기업과 협력사 간 상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판매기업은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대금 예치·정산, 대출 실행까지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신용 담보 없이 생산 단계에서 자금 지원이 가능한 ‘우리CUBE데이터론’도 연계돼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있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첫 번째 구매기업으로 협력 중이며, 기술보증기금과의 추가 상품 개발도 계획하고 있다.

‘우리SAFE정산’은 PG사와의 협업을 통해 결제대금을 직접 관리하고 판매대금과 수수료를 분리 정산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판매기업은 실시간 정산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플랫폼 부도 시에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올해 1월 여행업계에 처음 도입된 이후 6월 기준 4만 건 이상의 정산 실적을 기록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대외여건에 취약한 만큼 포용금융 플랫폼을 통해 성장 기회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AI 및 디지털 기반의 금융 고도화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우리은행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