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대표하는 서울야외도서관이 올해 4월 개장 후 약 3개월 만에 100만명이 방문했다고 3일 밝혔다. 2022년 첫 개장 후 누적 방문객 수는 608만명을 넘어섰다.
서울야외도서관은 책읽는 서울광장, 광화문 책마당, 책읽는 맑은냇가 등 3곳으로 구성돼 있으며, 지난 4월 23일 '세계 책의 날'에 상반기 운영을 시작했다.
이용자 만족도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방문자 전체 만족도는 96.6%로 전년 대비 5.3% 상승했고, 재방문 의사 96.6%, 추천 의사 97%, 운영 지속 희망 비율 97.5% 등 모든 항목에서 시민들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방문자 중 책을 1권 이상 읽은 독서자 비율도 87.1%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올해 인기 요인으로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힙' 열풍이 꼽힌다. 도심 소음에서 벗어나 몰입 독서를 즐기는 '사일런트 야(夜)한 책멍', 파자마를 입고 함께 책을 읽는 '파자마 떼독서' 등 다양한 독서 방식이 국내외 방문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국내 최초 공공 북클럽 '힙독클럽'의 활약도 두드러졌다. 모집 시작 2시간 만에 1만명이 마감된 '힙독클럽'은 전용 누리집에 회원들의 독서 활동 게시물이 6만건을 넘어섰다. 회원의 81.6%가 2030세대로 구성돼 젊은 층의 독서 문화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부터는 자치구 확산 모델도 본격 추진됐다. 14개 자치구의 야외도서관 운영을 지원했고, '서울팝업야외도서관' 북키트를 대여해 지역 곳곳에서 야외도서관을 즐길 수 있게 했다.
시에 따르면 서울야외도서관의 성과는 국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홍콩 사회단체 MADi, 부산바다도서관 등 국내외 기관이 현장을 방문해 벤치마킹해 갔으며, 전국 곳곳에 80여개의 야외도서관이 운영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서울야외도서관은 무더위를 고려해 7~8월 혹서기 동안 운영을 중단하고 9월 5일 하반기 운영을 재개한다. 휴장 기간 중 8월 22일~24일에는 '도심 속 피서'를 주제로 한 여름 특별프로그램 '여름 밤도서관'을 운영할 예정이다.
김태희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서울야외도서관은 단순한 도서관을 넘어 도시의 매력도 전체를 높이고 시민의 일상을 풍요롭게 만든 서울시의 문화정책 대표 자산"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