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본점 전경. 사진=각 사.
4대 금융지주 본점 전경. 사진=각 사.

국내 4대 금융지주들이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이후 커지는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지난 22일 임종룡 회장 주재로 '중동 상황 관련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임 회장은 회의에서 “과거 사례를 볼 때 원·달러 환율 상승, 주가지수 하락 등 국내 금융 및 외환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차분하고 기민한 대응을 주문했다. 

그룹 차원의 위기 대응 방향으로는 △시장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그룹 유동성·자산 건전성·자본비율 수시 점검 △정부 대응책 협조 △수출입 기업 대상 긴급 자금 지원 △IT 안정성과 정보보안 재점검 등이 제시됐다. 우리은행은 정진완 행장 주재로 이날 오전 8시30분 추가로 긴급 임원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KB금융그룹과 국민은행도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자본시장 변화에 따른 손익을 점검하고 있다.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주를 포함한 계열사 주요 임원이 참여하는 비상 대응 체계를 상시 운영한다.

신한금융그룹도 리스크 대응 수위를 높였다. 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외환·자금시장 유동성 리스크를 점검하고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그룹과 자회사별 리서치 조직은 거시경제 분석을 바탕으로 경기 진단을 강화하고 있다. 실물경제 회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검토에 착수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조달금리와 자산 증감 등 주요 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관계사별로 자본 적정성을 점검하며 유동성 확보와 실물경제 지원을 위한 시나리오도 마련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