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이후 고조된 중동 정세가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긴급 종합상황점검 회의를 소집했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3시 서울에서 최남호 산업부 2차관 주재로 회의를 개최하고 에너지 수급 상황과 무역·공급망 전반에 걸친 영향을 포괄적으로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내 원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수급 현황을 비롯해 중동 항로상 유조선 및 LNG 운반선의 운항 상태, 그리고 비상시 대응 체계 구축 상황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물류 차질에 따른 에너지 수급 위기 대응 방안도 주요 안건으로 다뤄진다.

산업부는 이미 지난 19일 자원산업정책국장 주재로 1차 긴급회의를 열고 에너지 공급망 관련 위기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이번 2차 회의는 상황 악화에 따른 후속 조치로, 관련 부처 및 산업계가 모두 참여해 보다 포괄적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

정부는 현재 약 200일 분량의 비축유와 법정 기준을 웃도는 천연가스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단기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중동 지역 정세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사태 장기화와 이란의 보복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상시 점검 체계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태는 미국이 21일(현지시간) 이란 포르도·나탄즈·이스파한 핵시설 3곳을 정밀 타격하면서 촉발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본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번 폭격이 "성공적으로 수행됐다"고 밝혔다. 이란 측의 반격 여부가 향후 정세의 중대한 변수로 부상하면서 정부는 산업 전반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키워드
#미국 #이란 #공습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