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iM금융지주
사진=iM금융지주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은행권 상생금융 압박이 본격화되면서 iM금융이 '체급부족' 딜레마에 빠졌다. 이미 업계 최고 수준의 사회공헌 비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추가 부담 요구와 주주환원 압력이 동시에 거세지고 있어서다. 다른 은행계열 지주사 대비 부족한 자본력이 이중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iM뱅크는 이미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율에서 20개 시중은행 중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새 정부의 상생금융 정책이 본격 추진되면 추가적인 출자나 기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새 정부 정책 기조에 따라 은행권을 향한 상생금융 요구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 중 하나인 금융의 공적 역할 확대가 구체화되면서 은행들의 사회적 책임 이행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iM금융의 체급이다. iM금융의 총 자기자본은 6조1622억원으로 4대은행계열 지주(35조~60조원)과 현저한 격차를 보인다. 올해 1분기 순이익은 1587억원에 그쳐 다른 지주사 대비 절대적 규모가 작다.

수익성 지표도 악화되고 있다. 올해 1분기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0%로 연말 대비 12bp 하락했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는 수도권 지점 등 전국단위 영업점 확장 기조 속에 있어 영업이익경비율(CIR)도 46.5%로 전년 동기 대비 4.2%p 올랐다. 금리 인하 사이클과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위축되고 비용도 늘어난 가운데 상생금융 출자 여력이 더욱 제한적인 상황이다.


주주환원 압력까지 '이중고'


설상가상 주주환원 압력도 거세지고 있다. iM금융은 보통주자본(CET1) 비율에 따른 구간별 주주환원율을 약속한 바 있어 올해 총주주환원율을 35% 내외로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다.

자사주 매입·소각도 병행 추진 중이어서 현금 유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생금융 출자와 주주환원이 동시에 요구되면서 현금흐름 관리에 비상이 걸린 셈이다.

업계에서는 iM금융이 상생금융과 주주환원 사이에서 선택적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절대적 자본 규모와 수익성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양쪽 모두를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iM금융이 새 정부의 상생금융 정책 방향과 강도를 살펴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주주환원 정책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등 정교한 자본관리 전략이 필요하지 않겠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iM금융은 이미 사회공헌 비율이 업계 최고 수준인데도 추가 부담이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주주환원 약속까지 지키려면 자본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M금융 관계자는 "지역에 위치한 시중금융그룹으로 '지역과 함께'라는 모토로 사회공헌 활동에 늘 신경을 쓰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