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세계 1위 업체인 대만 TSMC와 삼성전자의 격차가 소폭 확대됐다.
삼성전자는 시장 점유율 2위를 유지했지만 전 분기 대비 매출이 하락했다. 반면 중국 SMIC는 점유율과 매출 모두 증가하며 삼성전자를 빠르게 추격했다.
9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상위 10개 파운드리 업체의 매출은 총 364억 300만 달러로 전 분기 384억 8200만 달러 대비 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렌드포스는 "미국의 상호 관세 면제 기한 직전 발생한 고객사의 긴급 주문과 지난해 중국의 소비자 보조금 프로그램 효과가 전형적인 계절적 비수기 영향을 일부 상쇄했다"고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주요 업체들의 매출이 하락한 가운데 업계 1~2위인 TSMC와 삼성전자 간 격차는 오히려 더 벌어졌다.
TSMC의 1분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67.6%로 전 분기보다 0.5%p 상승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8.1%에서 7.7%로 0.4%p 하락했다. 이에 따라 양사 간 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4분기 59.0%p에서 올해 1분기 59.9%p로 확대됐다.
트렌드포스는 "TSMC는 스마트폰 관련 웨이퍼 출하량이 계절적 요인으로 감소했지만 인공지능(AI)과 고성능컴퓨팅(HPC) 수요가 견고했고 관세 회피 목적의 긴급 주문 효과로 1분기 매출 감소폭을 5% 수준인 255억 달러로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중국 보조금 혜택의 제한성과 미국의 첨단 공정 수출 규제의 이중 부담으로 전 분기 대비 11.3% 감소한 28억 9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업계 3위인 중국 SMIC는 매출과 점유율이 모두 상승하며 삼성전자를 향한 위협을 강화했다. SMIC는 미국 관세와 중국 보조금 정책에 따른 조기 재고 확보가 활발해지면서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을 상쇄했다.
이에 따라 SMIC는 1분기 매출 22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 분기 대비 1.8% 증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0.5%p 오른 6.0%를 달성했다. 삼성전자와 SMIC 간 점유율 격차는 같은 기간 2.6%p에서 1.7%p로 좁혀졌다.
- 이재용 회장,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사업장 방문
- 삼성전자, 유럽 전자레인지 시장 10년 연속 1위… 점유율 12.8% 기록
- 삼성전자, 초저전력 디지털 광고판 '컬러 이페이퍼' 출시
- 삼성전자, 하반기 글로벌 전략회의…불확실성 대응 총력
- 이재명 정부 출범…삼성·SK, 반도체 공약 '촉각'
- 삼성전자, 중남미서 '비스포크 AI 가전' 선보여… 테크 세미나 개최
- 삼성전자, 'AI 가전 트로이카' 페스타 진행
- 삼성전자·존스홉킨스대, 펠티어 냉각 기술 논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게재
- 삼성전자, 주거용 환기 시스템 '비스포크 AI 에어 콤보' 출시
-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국내 200만대 판매 돌파
- 삼성전자, 유엔해양총회서 '코랄 인 포커스' 다큐 시사회 개최
- 삼성전자, 글로벌 리스크 속 하반기 생존전략 수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