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1000TEU급 컨테이너 선박 'HMM 블레싱호'. 사진=HMM
 1만1000TEU급 컨테이너 선박 'HMM 블레싱호'. 사진=HMM

HMM 육상노조가 이재명 대통령의 본사 부산 이전 공약에 대해 경영 자율성을 훼손하는 정치적 개입이라며, 강행 시 전면 투쟁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HMM 육상노조는 4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이 대통령이 지난 1일 부산 유세에서 HMM 본사 이전과 관련해 '노동자들을 설득해서 동의받되, 끝까지 안 하면 그냥 해야지 어떻게 하겠냐'고 언급했다"며 "이는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훼손하는 정치 폭력"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노조는 본사 이전이 현실화할 경우 고객사 대응력 저하, 조직 재편 혼란, 인력 유출 등 경영상 큰 타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HMM은 현재 서울 여의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본사 근무 인력만 약 800명에서 900명에 이른다. 반면 부산사업본부는 200여명, 해상 부문에는 800여명이 근무 중이다.

노조는 "육상직 직원 1063명 중 약 90%가 서울에 근무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수도권에 생활 기반을 두고 있다"며 "부산 이전은 인력 유출을 야기하고 조직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본사 이전이 현실화할 경우 조직 불안정, 인력 유출, 고객사 대응력 저하, 글로벌 해운시장 내 경쟁력 약화 등 전방위적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HMM의 주요 글로벌 파트너 및 고객사 상당수가 수도권에 밀집해 있어, 부산 이전 시 실시간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노조는 또 HMM이 2016년 채권단 공동관리 체제에 들어가며 공적자금이 투입됐지만,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현재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나, HMM은 장기적으로 정부 지분이 매각될 예정인 민간 기업이다.

이어 "정부가 추진 중인 상법 개정은 대주주의 독단으로 인한 소액주주와 구성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직원 동의 없는 본사 이전은 이와 정면으로 충돌한다"며 "대통령이 소수의 국민을 탄압하는 정치를 한다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HMM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