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는 변화한 산업·기술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언론사 제휴 모델 운영을 위해 '네이버 뉴스제휴위원회'를 6월 중 출범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위원회는 각 기구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 뉴스제휴위원회는 △심사 규정 제정과 개정을 맡는 정책위원회 △신규 제휴사 입점 평가를 담당하는 제휴심사위원회 △기제휴사의 규정 준수 여부를 점검하는 운영평가위원회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입점 및 평가 과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검토하는 이의신청처리위원회를 별도로 운영할 예정이다.
정책위원회 위원은 총 11명으로 학자, 법조인 등 각계 전문가, 전직언론인, 정당추천인 등을 네이버가 직접 섭외해 구성한다.
제휴심사위원회와 운영평가위원회는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한국신문윤리위원회 등 언론 관련 평가 전문 단체의 추천 인사와 언론사 독자·시청자위원회 전직 위원들로 이뤄진 '전문가 위원 후보 풀'중에서 위촉할 계획이다.
두 위원회는 300~500명 규모의 후보 풀을 구성하고, 심사 주기마다 무작위 선발 방식으로 위원을 교체하는 체계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매 심사마다 다른 위원이 참여하게 돼 공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지속적인 규정 안내와 교육으로 전문성도 강화할 계획이다.
신규 제휴사 입점 평가는 정량평가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해당 항목이 전체 평가 비중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정성평가는 평가위원별 전문 분야에 한정해 실시되며, 모든 심사항목은 학계와 전문가의 감수를 거쳐 완성도를 높인다.
한편 기존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2015년 독립기구로 출범해 뉴스 입점 및 제재 평가를 담당해 왔지만,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맞는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기 위해 2023년 5월부터 잠정 중단된 상태였다.
네이버는 지난해 1월 외부 전문가 7인으로 구성된 '뉴스혁신포럼'을 출범시키고 뉴스 서비스 전반의 개선방안과 제휴 모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왔다. 이번에 출범하는 뉴스제휴위원회 역시 뉴스혁신포럼의 제안을 반영해 구성됐다.
새로 출범하는 뉴스제휴위원회는 오는 6월 구성을 완료한 후, 새로운 심사평가 규정을 제정하고 연내 신규 입점 심사 일정을 안내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