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글로벌 제약기업 '모더나'의 특허장벽을 허물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사인 모더나의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 뉴클레오타이드 및 핵산 및 이들의 용도' 특허에 대한 무효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고 23일 밝혔다. 국내에 특허 등록된 mRNA 제조 기술은 모더나의 용도 특허가 유일하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3년 해당 특허에 대한 무효소송을 제기한 이후 약 2년 만인 지난달에 특허심판원으로부터 특허무효 심결을 이끌어냈다. 이후 모더나가 불복절차를 진행하지 않아 SK바이오사이언스의 최종 승소가 확정됐다.
모더나의 특허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중인 일본뇌염 백신 후보물질 'GBP560'을 포함한 여러 mRNA 제조에 핵심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 특허가 부당하게 우선권을 인정받아 과도하게 특허 독점권을 획득함으로써 mRNA 백신 기술 개발을 저해한다고 판단해 선제적으로 무효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심결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내 mRNA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중요한 우위를 확보한 사례로 평가된다. 글로벌에선 여전히 다수의 기업들이 모더나와 관련 특허 분쟁을 진행 중인데,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한발 앞서 특허 장벽을 허물며 자체 기술 확보 노력에 진전을 이뤘다. 또한, mRNA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국내 기업들의 특허 리스크까지 완화함으로써,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기반 마련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코로나19 백신에 적용돼 처음 상용화된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은 유전자 염기서열을 활용해 기존 플랫폼 대비 신속한 대량생산 체제 구축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 때문에 팬데믹 대응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며 치료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커 빠른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노바원어드바이저(Nova One Advisor)에 따르면, 글로벌 mRNA 의약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17.06% 성장해 오는 2033년엔 589억달러(약 8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