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가 인공지능(AI)과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핵심 사업 구조를 재편하면서, 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VX 등 비핵심 자회사 매각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런데 이들 3개 회사 모두 해외 사모펀드가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어, 자칫하면 주요 서비스와 기술이 해외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최근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곳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다. 카카오엔터는 음악·영상·스토리 등 콘텐츠 제작과 매니지먼트, 플랫폼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국내 주요 아티스트와 웹툰 지식재산(IP)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해 왔다. 다만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순손실이 발생해왔으며,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시세 조종 의혹을 받으며 사법 리스크가 불거졌다.
2019년부터 추진해 온 기업공개(IPO)도 사실상 동력을 잃은 상태다. 시장에선 상장 가능성이 낮아진 만큼, 카카오가 지분 매각을 통해 투자금 회수와 리스크 차단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앵커에퀴티파트너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싱가포르투자청 등 주요 주주들에게 지분 매각 의사를 담은 서한을 발송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카카오 측은 "카카오 그룹의 기업가치 제고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해당회사 주주와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 역시 매각 대상으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서 '콜 모아주기' 논란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았고, '매출 부풀리기' 의혹으로 금융당국의 징계를 받는 데 이어 검찰 수사까지 진행 중이다. 업계에선 계속된 사법 리스크로 IPO 실현이 어려워지자, 카카오가 지분 일부를 매각하고 2대 주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 2022년에도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일부를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매각하여 1대 주주에서 2대 주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인 카카오VX도 정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카카오VX는 피트니스 플랫폼, 스크린골프 등 스포츠 기반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으로, 카카오게임즈가 65.19%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 주주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카카오게임즈는 골프 사업을 중단 영업으로 분류하고 매각 의지를 드러냈으며, 무선통신기기 사업을 영위하던 카카오VX의 종속회사 세나테크놀로지를 매각한 바 있다.
다만 이들 3개 자회사는 모두 공통적으로 해외 사모펀드가 2대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분 매각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자산이 고스란히 해외로 이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2대 주주는 지분 약 12%를 보유한 홍콩계 사모펀드인 앵커에퀴티파트너스다. 이어 GIC가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 6.73%, 사우디국부펀드(PIF)가 5.1%, 중국 텐센트가 약 4.5%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 글로벌 사모펀드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이 지분 14.31%를 보유한 2대 주주로 있으며, 칼라일(6.18%), 오릭스PE 컨소시엄(5.35%) 등이 해외 사모펀드가 주요 주주로 있다. 카카오VX는 복수의 재무적 투자자(FI) 가운데 외국계 자본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구조는 카카오가 경영권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국내 이용자 기반으로 성장한 핵심 서비스들이 외국계 자본의 통제 아래 놓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감하게 받아들여진다. 특히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톡과 별개의 서비스를 통해 국내 300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유치하고 있다. 카카오엔터 또한 연예·지식재산권(IP) 등 문화적 영향력이 큰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에 미치는 파급력도 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우려에 카카오 노조도 반발하고 있다. 카카오 공동체 노동조합 '크루유니언'이 최근 잇따르고 있는 카카오 계열사들의 사모펀드 매각 움직임에 대해 "최근 홈플러스 법인회생 사태에서 드러난 것처럼 MBK와 같은 사모펀드는 투자이익외에 사회적 책임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라며 "수익화를 위해 이용자 데이터를 사업화하거나 제3자에게 판매할 우려도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