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진관사 사찰음식. 사진=한국불교문화사업단
서울 진관사 사찰음식. 사진=한국불교문화사업단

불교의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을 신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승려들의 일상적인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포괄한다"며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승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불교 사상에 기초해 육류와 생선, 오신채(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없이 조리하는 채식이라는 점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사찰음식'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후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식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다.

고려시대에는 '동국이상국집', '조계진각국사어록, '목은시고'와 같은 문헌에서 채식만두와 산갓김치 등 사찰의 음식과 관련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묵재일기', '산중일기'의 기록을 통해 사찰이 두부, 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의 주요 공급처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는 등 음식을 통해 민간과 교류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전통적인 조리법을 유지하면서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등 그 영역을 확장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다만 '사찰음식'은 각 사찰마다 다양한 조리법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 승려를 중심으로 사찰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전승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을 방침이다.

국가유산청은 30일 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무형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유산 지정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