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 CNS가 창고 자동화 물류로봇을 앞세워 북미 물류자동화 시장 진출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LG CNS는 3월 17~2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물류자동화 전시회 '프로맷 2025'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에서 창고 자동화 물류로봇 '3D 모바일 셔틀'과 스마트물류 설루션을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LG CNS가 새롭게 개발한 '3D 모바일 셔틀'은 물류창고 선반 내 물품을 수십, 수백대의 셔틀로봇이 이동하며 운송·보관하는 자동화 로봇이다. 기존 설비는 좌우 두 방향으로만 움직여 물품 이동에 제약이 있고, 복도마다 선반을 설치해야했다. 반면 3D 모바일 셔틀은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물품을 운송·보관할 수 있다.
회사는 3D 모바일 셔틀에 수학적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물류 운영 효율을 극대화했다고 설명헀다. 이를 통해 창고 이용면적도 2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일반 화물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터리와 같은 원통형 화물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제조, 유통,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고객사는 셔틀로봇의 종류와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공장의 경우 화재 예방을 위해 내연성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미국 전기·전자·기계 설비의 필수 안전 규격인 UL 인증을 획득했다.
LG CNS는 물류자동화 설비와 다양한 로봇을 통합 관제할 수 있는 스마트물류 설루션도 선보였다. 이 설루션은 △자동화 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자율이동로봇 최적 경로 관리 △트래픽 관리 △장애 진단 및 유지보수 예측 등 통합 관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물류창고의 물동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물류 비용과 운영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수집한 물류자동화 설비와 로봇 데이터를 AI 분석해 장애를 진단하고 유지보수를 예측할 수 있어, 물류창고의 무중단 운영도 가능하다.
LG CNS는 이번 전시에서 △공장 물류 연계를 지원하는 자율이동로봇 △로봇 관제 설루션을 개발하는 미국 로봇 전문기업 '베어로보틱스' △고중량 화물 이송 자동화 사업 파트너인 스마트팩토리 설루션 전문기업 '티라로보틱스'와 공동 부스를 운영했다.
이준호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은 "LG CNS는 스마트물류 역량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물류로봇을 개발하고 있다"며 "앞으로 북미 고객을 위한 맞춤형 물류로봇과 스마트물류 설루션을 제공해 고객이 성공적으로 물류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